![]() |
1919년 3월15일 매일신보기사. 만세운동 당시 신문에 게재된 내용. <포항시 중앙동개발자문위원회 제공> |
경북 최초의 3·1 만세운동을 재현하는 행사가 포항에서 열린다.
경북 포항시 북구 중앙동 개발자문위원회는 오는 3월 1일 제106주년 삼일절을 맞아 중앙동 포항소망교회(옛 여천장터) 일원에서 '여천 3·1 만세운동 재현문화제'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여천 3·1 만세운동'은 1919년 3월 11일과 12일 양일간 여천장터에서 일어난 경북 최초의 만세운동으로 경북 동해안 지역 독립운동의 불씨가 됐다. 당시 여천시장 일대는 일본 헌병대·경찰서·법원·군청·세무서 등의 행정기관과 일본인 집단 거주지 본정(本町)이 위치해 삼엄한 경계가 이뤄지던 곳이었다.
여천 만세운동과 관련해 매일신보 1919년 3월15일자 '포항 밤중에 소동해'라는 제목의 기사에 '조선독립만세운동을 개시했다'는 내용이 게재돼 있다. 박은식의 '한국독립운동지혈사'에는 포항의 3·1운동은 7차례에 걸쳐 진행됐고, 여기에 포항 인구 6천500여 명 중 2천400여 명이 참여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사망 40명, 부상 330명, 투옥 280여 명으로 일제의 탄압도 극심했다.
이번 행사는 경북 최초의 만세운동을 기념하고자 마련됐으며, 독립선언문 낭독과 만세삼창 등을 진행한다. 장두대 중앙동 개발자문위원장은 "여천 3·1 만세운동은 경북지역 독립만세운동의 효시가 됐으나 그동안 잊혀 왔다"라며 "단순한 역사 재현을 넘어 포항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시민들의 자긍심을 고취시키겠다"고 말했다.
전준혁기자 jjh@yeongnam.com

전준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