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북 봉화군 봉성면에 위치한 '봉성약국'. 공공심야약국으로 지정돼 밤 11시까지 운영된다. <봉화군 제공> |
봉화군에선 단 한 곳만 심야약국으로 지정됐으나, 인구 밀집 지역인 봉화읍이나 춘양면이 아닌 봉성면에 있는 약국만이 선정되면서 주민 불만이 터져나오고 있다. 취지는 좋지만, 심야에 약이 필요한 주민들이 먼 거리까지 이동해야 하는 현실을 고려하면 실효성에 의문이 든다는 것이다.
봉화군의 이번 결정은 인근 지자체와 비교했을 때 더욱 아쉬움을 남긴다. 청송군은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진보면에 있는 약국을 심야약국으로 지정해 접근성을 극대화했다. 영주시도 영주대학로약국을 선정해 의료기관과의 연계를 강화하며 응급의료 기능을 보완하고 있다.
반면 봉화군은 인구 절반 이상이 거주하는 봉화읍과 춘양면에는 단 한 곳도 지정하지 못했다. 이에 봉화읍 주민들은 "심야약국이 있다는 건 반가운 일이지만, 정작 먼 곳에 있으면 있으나 마나 한 것 아닌가"라며 반문하고 있다.
운영 시간도 문제다. 일반적으로 공공심야약국은 응급의료 보완을 위해 자정까지 운영되지만, 봉화군은 밤 11시에 문을 닫는다. 한 주민은 "응급상황은 밤 11시 이후에도 발생할 수 있는데, 최소 자정까지는 운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봉화군은 "앞으로 봉화읍과 춘양면 약국들과 협의해 공공심야약국 추가지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추가지정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현재 봉화읍 내 5곳, 춘양면 내 3곳의 약국이 있지만, 모두 불참 의사를 밝혔다. 가장 큰 이유는 약사 부족과 방문객이 적기 때문이다.
또 심야약국으로 지정되면 시간당 4만원의 운영지원금을 지급받아 하루 3시간 운영 시 12만원이 지원된다. 약국 관계자들은 "지원금이 현실적이지 않다"고 입을 모은다. 한 약사는 "야간 방문객이 적은 상황에서 운영 부담까지 떠안을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또 다른 약국도 "지원금이 있다 해도 전기료와 인건비를 감안하면 턱없이 부족하다"고 했다.
지역 의료계는 "공공심야약국이 '있으나 마나 한 제도'로 전락하지 않도록, 접근성과 실효성을 보완하는 현실적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황준오기자 joono@yeongnam.com

황준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