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군 '공공시설 사물주소' 부여

  • 황준오
  • |
  • 입력 2025-03-12 18:42  |  수정 2025-03-12 18:42  |  발행일 2025-03-12
위치 정밀화로 재난 대응력 강화
공공시설의 공간적 식별성 제고
봉화군 공공시설 사물주소 부여
경북 봉화군청사 전경. <봉화군 제공>

경북 봉화군은 기존 도로명주소 체계만으로는 정확한 위치를 특정하기 어려운 공공시설에 대해 사물주소를 직권으로 부여한다. 이는 시설물의 공간적 가시성을 증대하고, 응급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한 구조활동이 이뤄질 수 있도록 설계됐다.

사물주소 시스템은 지난 2020년 개정된 도로명주소법을 기반으로 도입된 정책적 조치로, 기존 건물 중심의 주소체계에서 벗어나 독립된 위치 식별이 필요한 다양한 시설물에 고유한 주소를 부여하는 방식이다. 이 제도의 도입은 민방위대피시설, 어린이놀이시설, 무더위쉼터 등과 같은 공공 인프라의 위치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긴급구조 요청 시 보다 신속한 현장 도착을 가능하게 해 실질적인 대응력 향상을 도모한다.

봉화군은 이번 정책을 통해 민방위대피시설 4개소와 어린이놀이시설 35개소, 무더위쉼터 54개소 등 총 96개소의 시설물에 대해 사물주소를 부여할 계획이다. 시설물 관리자 등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 적절한 위치에 주소판을 설치할 예정이다. 이는 단순히 주소 부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시설물의 지속적인 관리와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정규하 종합민원실장은 "이번 사물주소 부여 정책을 통해 지역주민들이 보다 정확하게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특히 재난 및 긴급상황 발생 시 대응속도를 극대화하여 골든타임을 확보하는데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봉화군은 이번 사물주소 도입을 통해 기존 주소체계의 한계를 극복하는 동시에, 스마트 행정의 일환으로 공간데이터 기반의 도시관리체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황준오기자 joono@yeongnam.com

기자 이미지

황준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