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셉 윤 주한미국대사대리가 18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주한미국상공회의소(암참) 초청 특별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조셉 윤 주한미국대사대리가 18일 한국이 미국 에너지부(DOE)의 민감국가 명단에 오른 것과 관련 “지나치게 크게 볼 사안은 아니다"고 밝혔다. 민감 정보를 잘못 취급된 사례가 있었다고 언급하면서 안보 문제 등으로 확대 해석을 경계한 것이다.
윤 대사대리는 이날 서울의 한 호텔에서 주한미국상공회의소와 주한미국대사관이 공동 주최한 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최근 불거진 민감국가 사태와 관련해 “마치 큰 문제인 것처럼 상황이 통제 불능으로 된 것은 유감"이라며 “큰 일이 아니다(it is not a big deal)"라고 했다.
이어 윤 대사대리는 “민감국가 리스트라는 건 오로지 에너지부의 실험실에만 국한된 것"이라며 에너지부 산하에 여러 실험실이 있고 작년의 경우 2천명이 넘는 한국 학생, 연구원, 공무원 등이 민감한 자료가 있는 연구실을 방문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런 민감한 정보는 실험실 밖으로 나가면 안된다"며 “연구하기 위해 이곳(실험실)에 가는 한국인들이 너무 많아 일부 사건이 있었고, 그래서 이 명단이 만들어졌다"며 “한국이 (민감국가) 명단에 오른 것은 실험실에서 일부 민감한 정보에 대한 취급 부주의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확인했다.
'취급 부주의'에 대해 주체나 배경 등 상세한 언급은 없었지만, 우리 측에 책임 소재가 있었음을 언급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와 관련해 정치권에선 미국 에너지부가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이유로 거론한 보안 문제 중 과거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의 도급업체 직원이 원자로 설계 소프트웨어를 한국으로 유출하려고 한 시도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권에 따르면 미국 에너지부 감사관실이 미국 의회에 제출한 반기보고서에는 아이다호 국립연구소(INL)의 도급업체 직원(contractor employee)의 문제가 적시됐다. 해당 사건은 2023년 3분기 또는 지난해 1분기 사이 발생했으며, 해당 도급업체 직원은 수출 통제 대상인 원자로 관련 정보를 소지한 채 한국으로 향하는 항공기에 탑승하려다 적발돼 해고된 것으로 전해졌다.

정재훈
서울본부 선임기자 정재훈입니다. 대통령실과 국회 여당을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