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 대구경북 노동인구 100만명 부족"

  • 자체기사
  • |
  • 입력 2025-04-23  |  수정 2025-04-23 08:02  |  발행일 2025-04-23 제13면
구미 외인노동력 활용 세미나

"지역서 경력 쌓아 수도권 떠나

가족동반 허용·정착지원 제도

유학생 유치 통합전략 수립해야"

2050년 대구경북 노동인구 100만명 부족

22일 구미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한 구미지역 외국인 노동력 활용방안'을 주제로 한 2025 구미지역 발전 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구미상공회의소 제공>

저출생 및 지방소멸로 인해 2050년 대구·경북 노동인구가 100만명 부족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다.

22일 구미상공회의소 대강당에서 열린 2025 구미 지역발전 세미나에서 '대구·경북 외국인 노동시장의 장기 동적 변화에 대한 진단'을 발표한 신선호 아주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경북연구원 장래인구추계자료(2025)를 근거로 이같이 밝혔다.

신 교수에 따르면 2023년 균형을 맞추고 있던 대구와 경북의 노동수요 및 공급인원은 2050년 대구 노동수요 116만3천명에 공급 64만7천명, 경북 노동수요 118만3천명에 공급 70만2천명으로 대구는 51만6천명, 경북은 48만1천명 노동인력 부족현상이 발생한다. 이 자료는 2022년 167만명이던 대구시 생산가능 인구는 2030년 145만명, 2052년 89만명. 경북의 생산가능 인구는 2022년 174만명에서 2030년 153만명, 2052년 96만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이날 세미나 주제 역시 '인구 구조 변화에 대응한 경북·구미지역 외국인 노동력 활용 방안'이었다.

신 교수는 "외국인 노동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고용의 안정성과 임금인데 이런 측면에서 대구·경북 지역이 아주 매력적인 지역은 아니다"라며 "외국인 노동자들이 처음에는 대구·경북으로 오더라도 경력이 쌓이면 수도권 등으로 떠나는 것을 고려한다. 대구·경북은 엔지니어, 교수 등 전문인력들의 비중이 뚜렷하게 떨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유학생, 영주권자, 결혼이민자 그룹의 고용률 상승세는 뚜렷한 만큼 이들을 잘 활용하는 고민을 시작해야 한다"며 "유학생 관련 프로그램이 탁월한 만큼 이들이 취업 및 지역사회 정주까지 이어질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 교수는 "가족동반 허용과 정주기반 정착지원 등 전문인력 유입을 위한 제도 정비와 유학-취업-정주로 이어지는 대구·경북 대학의 유학생 유치 통합전략 수립이 필요하다"며 "F-4 비자 전환자에 대한 정교한 제도 설계, 외국인 관련 데이터 수집·관리 체계 강화 및 지역 거버넌스 구축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용기기자

기자 이미지

디지털뉴스부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