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美 의약품 관세 부과에 반대의견…“韓 의약품 위협 안 돼”

  • 이승엽
  • |
  • 입력 2025-05-06 17:25  |  수정 2025-05-07 08:57  |  발행일 2025-05-06
美 측에 관세 부과 반대 의견서 제출

“韓 의약품 美 국가안보 위협 안 돼”
정부, 美 의약품 관세 부과에 반대의견…“韓 의약품 위협 안 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미국의 수입 의약품에 대한 관세 부과 추진과 관련해 정부가 “한·미 간 의약품 무역은 상호 신뢰에 기반한 전략적 협력으로, 미국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지 않는다"는 반대 의견서를 제출했다.

정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무역확장법 제232조에 따라 진행 중인 의약품 분야 국가안보조사와 관련, 이 같은 내용의 공식 의견서를 마련해 지난 4일(현지시각) 미국 상무부에 제출했다고 6일 밝혔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특정 품목의 수입이 국가 안보를 위협한다고 판단될 경우 관세 등 적절한 조치를 통해 수입을 제한할 권한을 대통령에게 부여하는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지난달 의약품 분야 국가안보조사를 개시했다.

정부는 이번 의견서를 통해 한국산 의약품 수입이 미국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지 않으며, 오히려 공급망 안정과 환자 접근성 향상에 기여하는 만큼, 관세 조치는 불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구체적으로 정부는 한·미 간 의약품 무역은 상호 신뢰에 기반한 전략적 협력으로, 한·미 간 제약산업·의료시장 규모 차이에도 미국이 한국 내 주요 의약품 수입국이라는 점을 들어 양국 간 긴밀한 경제·보건 협력을 보여준다고 의견서에 제시했다.

특히 한국의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은 미국 제약사의 생산 이원화를 지원해 공급망 안정성과 환자 약값 부담 완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피력했으며, 팬데믹 시기 양국 공동 대응 사례를 들어 이 같은 협력이 국가 안보에 직결됨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이어 정부는 양국 간 필수의약품 접근성 강화와 혁신 촉진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상호 신뢰에 기반한 공급망 구축을 통해 공동의 이익을 극대화해 나갈 것을 미 정부에 제안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의약품을 포함해 의료기기·화장품 등 바이오헬스 산업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범정부 차원 대응을 강화할 것"이라며 “관계부처와 협력해 범정부 통상 협상에 적극적으로 임하는 한편, 의약품 품목 관세 동향을 면밀히 파악하고 업계 지원방안을 적극 검토·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기자 이미지

이승엽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