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대형 산불 피해지 ‘소규모 압축 도시’ 생긴다

  • 오주석
  • |
  • 입력 2025-05-13 07:40  |  발행일 2025-05-13
경북 대형산불 피해지 압축도시 모델 개발 착수…외곽 주민 면 단위로 이주
의성과 영덕을 시범 마을로 총 10곳 조성 목표
단촌면 후평리

경북 의성군 단촌면 후평리 마을의 주택들이 산불에 전소돼 폐허가 되어 있다. 영남일보 DB

대형 산불로 삶의 터전을 잃은 주민들을 위한 '소규모 압축도시(콤팩트시티·Compact City) 조성' 사업이 추진된다. 상시적 재난 위험 지역 거주민들을 읍·면 중심지로 이주시켜 안전하게 보호하고, 마을 공간과 행정의 효율을 극대화한다는 구상이다. 경북도는 피해 지역의 상황에 따라 마을 재건과 소규모 압축도시로의 이전 '투 트랙(two track)' 전략을 구사할 방침이다.

12일 경북도에 따르면 대형 산불 피해지 5개 시군을 대상으로 소규모 압축도시 개발을 준비하고 있다. 일정 부분 생활 인프라가 갖춰진 읍·면 지역에 생활·복지·안전 기반을 갖춘 마을을 조성해 산불 피해 주민을 이주시키는 것이 핵심이다.

산사태나 산불 등 상시적인 재난 위험 지역에 거주하는 이재민이 우선 대상이다. 경북도는 우선 의성군 단촌면 단촌리와 영덕군 지품면 지품리를 시범 마을로 지정하는 등 10곳 내외의 압축도시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들 지역은 고령 인구 비중이 높고, 해마다 자연 재해가 반복되는 지역이다. 경북도는 오는 20일 의성군과의 구체적인 협의에 착수한다.

압축 도시 사업은 산불 피해 주민의 협조를 바탕으로 마을을 형성하는 것을 우선 추진하되, 상황이 여의치 않을 경우 정부가 마을을 조성하고 주민이 임대 방식으로 거주하는 모델도 함께 검토되고 있다. 앞서 경북도는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에게 건의한 1번 공약 '산불 피해복구와 혁신적 재창조'에 압축도시 사업을 포함시켰다. 총 사업비는 5천억원 규모로 압축도시 1곳 당 500억원이 투입되는 구조다.

경북도는 이달 말 소규모 도시 모델 개발을 위한 용역(1억원)에도 착수한다. 5개 산불 피해 시군에 적용 가능한 압축도시 설계와 구체적인 실행 계획 등이 담길 예정이다. 사업이 본격화되면 단순 복구를 넘어 인구 재정착과 고령층 복지 개선 등 중장기 지역 재생 전략으로 확장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시균 경북도 미래전략기획단장은 “압축형 도시는 지방 소멸이 심각한 일본에서 이미 효과가 입증된 모델"이라며 “피해 지역별로 마을 재건이나 압축도시로의 이전 사업이 진행될 예정이며, 주민 설득을 바탕으로 영농단지, 풍력에너지 사업 등과 연계한 일자리 창출도 함께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기자 이미지

오주석

영남일보 오주석 기자입니다. 경북경찰청과 경북도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