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이재명(오른쪽부터)·개혁신당 이준석·민주노동당 권영국·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가 18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SBS 프리즘센터 스튜디오에서 열린 제21대 대선 1차 후보자 토론회 시작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들이 18일 첫 TV토론부터 치열한 공방을 펼쳤다. 특히 이날 주제는 '경제' 분야였지만 각 후보들은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문제와 사법리스크, 과거 발언 등을 꺼내들며 불꽃 튀는 신경전을 벌였다.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으로 열린 이날 토론은 서울 SBS 상암 스튜디오에서 생중계로 진행됐으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국민의힘 김문수·개혁신당 이준석·민주노동당 권영국 후보가 참석했다.
토론의 첫 주제는 '저성장 극복과 민생경제 활성화 방안'이었다. 각 후보는 고물가·고금리·내수 부진 상황에서의 해법을 놓고 엇갈린 시각을 드러냈다.
김문수 후보는 "규제를 혁파하고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청년 일자리 창출에 나서겠다"고 했으며 권영국 후보는 "불평등한 세상을 갈아엎고 새로운 평등 사회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준석 후보는 "이공계 출신 대통령으로서 과학기술 중심의 국가 경쟁력을 되살리겠다"고 말했으며, 이재명 후보는 "이번 선거는 어떤 나라를 만들 것인가를 결정하는 중대 기로"라며 국민 통합과 유능한 국정 운영을 약속했다.

국민의힘 김문수(왼쪽부터)·민주노동당 권영국·개혁신당 이준석·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가 18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SBS 프리즘센터 스튜디오에서 열린 제21대 대선 1차 후보자 토론회 시작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후 시작된 토론에는 격한 공방도 벌어졌다. 권영국 후보는 김문수 후보를 향해 "윤석열 내란의 대리인"이라고 비판하며 사퇴를 요구했고, 김 후보는 "계엄은 잘못됐지만 내란 여부는 재판 중"이라며 반박했다.
이준석 후보는 이재명 후보가 제시한 '전 국민 AI' 정책과 '호텔 경제론'을 두고 "경제 순환을 과도하게 단순화한 포퓰리즘"이라며 거세게 몰아붙였다. 이에 이재명 후보는 "경제는 순환이 중요하며, 기술 개발을 위한 R&D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반론을 펼쳤다.
이후에는 '정년 연장' '노란봉투법' '주 4.5일제' 등 노동 정책도 쟁점이 됐다. 김문수 후보는 "노란봉투법은 위헌 소지가 있고, 기업의 자유를 침해한다"면서 "기본소득은 말이 안 된다"며 기존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재명 후보는 "주 4.5일제 도입은 임금 삭감 없는 점진적 추진이 가능하다"고 설명했으나, 이준석 후보는 "재원 대책이 빠진 구호 수준"이라고 비판하며 "국민을 혼란스럽게 하는 정책 제시는 무책임하다"고 몰아붙였다.
또한 경제활성화에 대해 각론에 대해서는 입장이 엇갈렸다. 이재명 후보는 "성장과 분배는 함께 가야 한다"며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했다. 그는 "단기적으로는 추경을 통해 서민 경제를 살리고, 장기적으로는 첨단기술·재생에너지·문화 산업을 육성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문수 후보는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규제를 혁파하고 기업 환경을 개선하겠다"며 "정부 부처의 평가 지표도 일자리 중심으로 개편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자영업자·소상공인을 위한 금융 지원과 채무 조정도 함께 제시했다.
이준석 후보는 "성장은 생산성 향상에서 비롯된다"며 "돈 풀기식 포퓰리즘은 고물가만 키울 뿐"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IMF 당시의 실패를 되풀이해서는 안 된다"며 "AI와 기술투자 중심의 성장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18일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제21대 대선 1차 후보자 토론회 중계방송을 지켜보고 있다. 연합뉴스
한편 선관위의 TV토론은 총 3번 열리며 오는 23일(사회)과 27일(정치) 같은 시간대에 두 차례 더 열릴 예정이다.

정재훈
서울정치팀장 정재훈입니다. 대통령실과 국회 여당을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