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수 10년간 5만 명 감소…
대통령 모교 포함 7개 학교 9월 폐교
복식학급·상치교사에 수업 붕괴 위기
교육청, 학습권 보장 초점 맞춘 통합 추진…

경북교육청이 적정규모학교 육성이란 통폐합 정책을 꺼내든 가운데, 폐교대상이 된 이재명 대통령의 모교인 안동 월곡초 삼계분교. 정운홍 기자
"6학년은 나 혼자였어요. 친구도, 경쟁도 없었죠." 경북 북부 한 산골 초등학교를 졸업한 박모(15) 군의 회고는 지금 경북 교육의 민낯을 드러낸다. 교사 한 명이 3~6학년을 동시에 가르치고, 수업 시간은 20분 남짓. 그가 경험한 건 '학교'라기보다 '버티기'였다.
지난 10년간 경북 초·중·고 학생 수는 약 5만 명 감소했다. 2016년 28만 7천602명이던 학생 수는 2025년 23만 8천146명으로 줄었다. 초등학생만 따로 보면 약 2만 명이 감소해 '소규모화'가 심각하다. 교육 현장은 복식학급, 상치교사, 수업 다양성 부족 등으로 사실상 붕괴 직전이다.
이 같은 상황 속에 경북교육청은 '적정규모학교 육성'이라는 이름의 통폐합 정책을 꺼내들었다. 오는 9월 1일에는 7개 학교가 폐교된다. 이 가운데는 이재명 대통령의 모교인 안동 월곡초 삼계분교도 포함돼 상징적 충격을 더했다. 한 시대를 이끈 인물을 배출한 학교조차 인구 감소의 현실 앞에선 문을 닫는다.
교육청은 "학교 수 유지로는 더 이상 교육의 질을 담보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통학 차량 운영, 교육비 지원, 맞춤형 학습 프로그램 등 실질적 지원책도 마련했다. 하지만 지역 반발은 여전하다. 폐교는 마을 공동체 해체로 직결된다는 위기의식 때문이다. "학교가 사라지면 마을도 끝"이라는 말은 단순한 위협이 아니라 경험에서 비롯된 경고다.
지역의 한 교사는 "학교는 교육만의 공간이 아니라 지역의 중심"이라며 "통합의 속도보다 공감의 깊이가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교육정책 전문가도 "폐교 자체보다 그 이후가 더 중요하다"고 말한다. 마을교육공동체나 평생교육센터로의 전환 등 후속 계획 없이는 이번 정책도 단발성에 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재명 대통령의 모교까지 폐교되는 상황은 경북 교육의 절박함을 보여준다. 이번 통폐합은 단순한 구조조정이 아니라, 아이 한 명 한 명에게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필연적 전환이다. 그러나 이 변화가 진정한 교육 혁신이 되기 위해선, 학교만이 아닌 마을 전체를 살릴 수 있는 정교한 설계가 함께 이뤄져야 한다.

손병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