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 20대 직원 비중이 50대 이상보다 적어지는 '세대 역전'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챗GPT 제작>
기업내 20대 직원 비중이 50대 이상보다 적어지는 '세대 역전' 현상이 현실화되고 있다. 경기침체로 신규 채용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퇴직 연령은 높아진 데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5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매출 기준 전국 500대 기업의 최근 3년간(2022~2024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30세 미만 인력 비중은 전년보다 1.2%포인트(p) 감소한 19.8%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50세 이상 인력 비중은 0.6%p 증가한 20.1%를 기록했다.
두 연령대의 비중이 역전된 것은 관련 조사가 시작된 2015년 이후 처음이다. 게다가 30세 미만 인력 비중도 20% 아래로 처음 떨어졌다.
최근 3년간 30세 미만 직원은 2022년 23만5천923명(21.9%), 2023년 23만888명(21.0%), 2024년 22만1천369명(19.8%)으로 매년 줄고 있다. 반면, 50세 이상은 2022년 20만6천40명(19.1%), 2023년 21만4천98명(19.5%), 2024년 22만4천438명(20.1%)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세대 역전 현상이 두드러진 업종은 2차전지였다.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침체) 등 경기 둔화로 신입 채용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인 탓으로 분석된다. 최근 3년간 2차전지 업종의 30세 미만 직원 비중은 9.7%p(7천789명) 줄었고, 50세 이상은 1.2%p(496명) 늘어 격차가 10.9%p에 달했다. 이 기간 대구 대표 2차전지 기업 엘앤에프 경우 30세 미만 비중이 13.2%p 하락했고, 50세 이상은 0.5%p 상승해 13.6%p나 차이를 보였다.
정보기술(IT)·전기전자 업종도 30세 미만 비중이 5.4%p(1만5천300명) 줄었고, 50세 이상은 3.1%p(6천933명) 증가해 8.5%p 차이를 기록했다. 이 밖에도 제약과 은행, 식음료 등 전체 22개 업종 중 12개 업종에서 30세 미만은 줄고 50세 이상은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리더스인덱스 박주근 대표는 "경기 둔화로 2차전지, IT를 포함한 대부분 업종이 신입 채용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고, 고참 인력의 퇴직이 지연되며 기업 내 고령화가 가속화했다"면서 "세대 간 비중이 뒤바뀌는 전환점에 도달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승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