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건 구한 신숭겸의 교묘한 지혜 ‘지묘동’, 반달이 떠 도주로 비춰준 ‘반야월’

  • 임성수
  • |
  • 입력 2019-11-29   |  발행일 2019-11-29 제35면   |  수정 2019-11-29
■ 왕건길
20191129
신숭겸 장군의 유적을 기리기 위해 평산신씨 문중에서 대구 동구 평광동 실왕리에 세운 ‘모영재(慕影齋)’.
20191129
1832년(순조 32) 평산신씨 후손인 신정위가 신숭겸 장군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대구 동구 평광동에 세운 ‘유허비(遺墟碑)’가 있는 영각.
20191129
공산전투에서 패한 뒤 겨우 몸을 돌보게 된 왕건이 동쪽으로 향하다가 대구 동구 봉무동 토성의 산기슭에 앉아서 쉬었다고 전해지는 ‘독좌암’. <류영철 박사 제공>
20191129
공산전투에서 패한 뒤 겨우 몸을 돌보게 된 왕건이 동쪽으로 향하다가 대구 동구 봉무동 토성의 산기슭에 앉아서 쉬었다고 전해지는 ‘독좌암’. <류영철 박사 제공>
20191129
왕건이 공산전투에서 패한 뒤 도주하면서 편안히 쉬어 간 곳이라는데서 유래된 대구 앞산에 위치한 ‘안일사’ 전경. <류영철 박사 제공>

대구 곳곳에 신숭겸 유적지
도주중 토성 산기슭에서 쉰 ‘독좌암’
노인 등 피란가고 아이만 남은‘불로’
허기 달래고 간 왕을 잃은 곳 ‘실왕리’
왕건이 신숭겸 명복 위해 세운 사찰


참패로 병력의 대부분을 상실한 왕건은 신숭겸과 김락 등의 도움으로 겨우 목숨을 부지한다. 전하는 바에 따르면 신숭겸이 후백제군의 눈에 잘 드러나는 왕건의 갑옷을 자신의 갑옷과 바꿔입고 후백제군을 자신에게로 유인함으로써 왕건을 구한다. 현재 이 지역의 명칭이 ‘지묘동’으로 전해지게 된 것도 왕건을 구한 그 지혜가 교묘하였다는 데서 연유한다. 지묘동 파군재삼거리에는 신숭겸 장군을 기리기 위한 동상이 있다.

겨우 몸을 돌보게 된 왕건의 도주로는 파군재에서 남쪽으로 내려와 동쪽으로 향한다. 현재 지묘동의 동남쪽에 위치한 봉무동에는 토성의 산기슭에 왕건이 도주하다가 앉아서 쉬었다는 속전이 전해지는 ‘독좌암’이라는 바위가 남아 있으며, 그 남쪽인 불로동에서 불로천을 따라 도동과 평광동 쪽으로 진행되는 곳에는 아직도 왕건과 관련된 설화가 전해진다. 불로동은 왕건이 지나갈 때 노인과 부녀자는 모두 피란을 가고 어린아이만 남아 있었다고 해 훗날 이 마을을 불로(不老)동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대구공항 서쪽에 위치한 도동은 원래 장산군의 영현인 해안현의 읍치가 위치해 있었던 곳인데, 속전에 의하면 왕건이 해안교 다리가 있는 부근의 들판을 지날 때 후백제군이 나타날까 걱정했으나 무사하게 되자, 마음이 놓여 ‘얼굴이 환하게 펴졌다’고 해 이 곳을 해안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삼국사기 지리지에 따르면 치성화현이었던 이곳을 해안현이라고 부르게 된 것은 신라 경덕왕때라고 밝히고 있어, 이곳의 지명과 관련한 속전은 신빙성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단지 왕건과의 관련 가능성을 짐작해 볼 수 있을 뿐이다.

도동을 거쳐 역시 불로천을 따라 동쪽으로 가면 평광동에 이른다. 평광동의 동쪽 끝은 불로천이 발원하는 곳으로, 이곳에서 산에 의해 길이 가로막히게 된다. 산 아래 마을은 속칭 ‘시량이’라고 불리는데, 원래 ‘실왕리’였던 마을이름이 점차 음(音)이 변해 그렇게 된 것이라고 한다.

‘실왕리’라는 마을 이름의 유래에 대해 속전에서는 왕건이 도주 중 평광동의 뒷산으로 숨었는데, 이곳에서 쉬면서 나무꾼을 만나 주먹밥으로 허기를 달랬으며, 후에 나무꾼이 나무를 다하고 내려와 보니 그 사람이 사라졌다는 것이다. 나중에 그 사람이 왕이었다는 사실을 알고 ‘왕을 잃은 곳’이라 해 이곳을 ‘실왕리’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 마을에는 현재 신숭겸 장군을 기리는 모영재와 신숭겸의 영정을 모셨던 곳이라는 내용이 담긴 비각이 보존돼 있다. 비문의 뒷면에 새겨진 글에 따르면 이곳은 왕건이 신숭겸의 명복을 빌기 위해 세웠던 미리사와 지묘사, 대비사 중 신숭겸의 영정을 모신 대비사가 있었던 곳이다. 신숭겸과 직접적 관련성을 찾아 볼 수 없는 이곳에 관련 유적이 있다는 것은 왕건과 관련된 속전에 신빙성을 보태고 있다.

불로천변을 따라 평광동의 시량이까지 이르렀던 왕건은 길이 막히자, 산을 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곳에서 산을 넘어 이를 수 있는 곳은 동쪽으로 환성산을 넘어 현재의 경산 하양읍으로 가는 길과 동남쪽으로 산을 넘어 현재의 안심지역인 매여동으로 가는 길이 있는데, 속전에 전하는 왕건의 관련 행적으로 미루어 볼 때 매여동 방면의 길을 택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취재차 찾은 실왕리는 대구에서도 가장 골짜기였다. 차량으로 몇 번을 돌아서 겨우 찾을 정도였다. 이 곳은 이제서야 상수도 공사를 할 정도로 오지 중 오지였고, 더 이상 나갈 수 없이 사방이 꽉 막혀 있었다. 하나 이해가 되지 않은 부분은 이 마을 아래를 흐르는 하천 명칭이 시량천이 아닌 ‘시랑천’으로 간판에 표시돼 있다는 것이다. 아마도 발음에 따른 착각인듯 하다.

남구 앞산자락 사찰 명칭도 왕건과 연관
앞산자락 은신한 절 ‘은적사·안일사’
왕건이 쉬어 간데서 연유한 ‘임휴사’
성서∼낙동강변∼성주방면 이동 추정
패했지만 민심 잃지 않아 고려에 큰 힘


대구 동구 안심지역은 속칭 ‘반야월’이라 불리며, 그 이름의 유래가 왕건이 이 지역에 이르렀을 때 하늘에 반달이 떠서 그 도주로를 비춰주었다고 한데서 연유한다. ‘안심(安心)’이라는 이름 또한 왕건이 이곳에 이르러 비로소 안심하게 되었다고 전하는 속전에 근거하고 있다.

여기서부터 왕건의 행적이 전해지는 대구의 남쪽 방면에 있는 앞산지역까지는 그 도주로의 연결선이 명확하지 않다. 대체로 금호강을 건너 지금의 경산 압량지역이나 현재 대구 수성구 고모동 방면을 지나간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을 지나 앞산(대덕산)에 이르면 왕건의 행적을 유추해 볼 수 있는 속전들이 사찰을 중심으로 전해지고 있다.

왕건의 도주로는 길을 잃지 않기 위해 주로 천변을 이용하거나 적대 세력의 이목을 피하기 위해 산기슭의 외곽을 이용했는데, 대구 남구 앞산에 이르러서도 이를 확인해 볼 수 있다. 앞산지역에 있어서 왕건의 행적을 유추해 볼 수 있는 곳으로 우선 ‘은적사’를 들 수 있다.

앞산의 아랫봉인 비파산의 동쪽자락에 위치한 은적사의 창건유래는 ‘은적(隱寂)’이라는 용어에서도 느껴지듯이 왕건이 이곳에 은신하여 머물렀던 곳이라 해 고려 태조 18년(936)에 영조 스님이 창건했다고 전해진다. 여기서 서쪽방면으로 진행하면 역시 비파산의 서북쪽자락에 ‘안일사’라는 사찰이 있다. 이 안일사(安逸寺)의 창건 또한 왕건이 이곳에서 편안히 쉬어 간 곳이라는데서 유래하고 있어 왕건의 자취를 느껴 볼 수 있다. 또한 앞산의 아랫자락에는 속칭 ‘안지랑골’이 있는데, 왕건이 이곳에 이르러 물을 마셨다는 왕정(王井)이 남아 있으며, 이 물을 ‘장군수’라고 부르고 있다.

은적사~안일사~안지랑골로 이어지는 앞산순환도로를 따라 계속 진행하면 앞산의 서쪽자락으로 현재의 대구 달서구 상인동에 있는 ‘임휴사’라는 사찰이 있다. 이 사찰의 창건유래 또한 왕건이 이곳에 임(臨)하여 쉬어 간데서 연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류 교수는 “논문이 비록 사료적 뒷받침이 없는 속전의 내용이 중심이 되었지만, 이렇게 왕건의 도주로를 상정해 볼 때 왕건은 대체로 팔공산자락에서 동화천변을 따라 해안현지역을 거쳤으며, 현재의 안심지역을 경유한 후 대구의 앞산지역에 이르러서는 서쪽방면으로 진행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후 왕건이 무사히 개경(현재 북한 개성)까지 돌아가게 된 경위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으나 왕건의 진행방향으로 볼 때, 대체로 성서지역을 거쳐 낙동강변을 따라 성주지역으로 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고려군이 공산전투에서 대패했지만 왕건이 도주하는 과정에서 경상도지역에서 민심을 잃지 않았다는 점은 고려에 큰 힘이 됐다. 이에 고려군은 2년 뒤 후백제와의 고창(안동)전투에서 대승하며 후삼국을 통일하게 된다. 이런 점에서 공산전투는 고려에 가장 중요한 전투였던 셈이다.

글·사진=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위클리포유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