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대 인문학술원 평화학연구팀, 영남대 통일문제 연구소 공동 콜로키움 개최

  • 박종문
  • |
  • 입력 2021-04-26 18:16  |  수정 2021-04-26 18:16  |  발행일 2021-04-26
'해방공간과 대구, 그리고 분단-대구 10월 항쟁과 냉전 통치' 주제
김상숙 성공회대(민주주의연구소) 교수,
허종 충남대(국사학과) 교수 발표
KakaoTalk_20210424_094609366
영남대 인문교육학술원 평화학연구팀과 영남대 통일문제연구소가 공동 콜로키움을 진행하고 있다.


영남대 인문교육학술원 평화학연구팀과 영남대 통일문제연구소는 지난 22일 영남대 인문관에서 '해방공간과 대구, 그리고 분단-(1946년)대구 10월 항쟁과 냉전 통치-'라는 주제로 공동 콜로키움을 주최했다.

이날 콜로키움에서는 김상숙 성공회대 교수(민주주의연구소)가 '대구 10월 항쟁과 해방공간 청년들의 경험'을, 허종 충남대 교수(국사학과)가 '해방, 분단, 그리고 대구'라는 주제 발표를 했다.

김 교수는 "1946년 10월 항쟁은 흔히 10·1사건, 또는 대구항쟁 등으로 이야기되듯 1946년 10월 1일에 대구에서 발생한 시공간적으로 범위가 제한된 특정한 사건이 아니다"면서 "특히 그 이후 일어난 민간인 희생사건은 단순히 좌우세력간의 대립과 상호보복 또는 민간인 봉기와 이에 따른 경찰관의 충돌 성격만을 지닌 것은 아니다. 이는 한국전쟁기까지 이어진 것으로 국민보도연맹원 희생사건 등 각종 민간인 집단희생사건의 출발점이 된 사건이다"고 규정했다.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 조사관으로 활동한 김 교수는 또 "진실화해위는 국가기관 최초로 이러한 항쟁의 실상에 접근하고 민간인 학살의 양상도 조사했으나 한계도 많다"면서 "10월 항쟁은 해방정국 최대의 사건으로 동학농민운동, 3·1운동에 버금갈 정도로 대규모로 일어난 항쟁으로 10월 항쟁의 조사범위를 공간적으로 확대해 전국적인 범위의 조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향후 진실화해위의 진상규명 과제로 제시했다.

김 교수는 나아가 "당시 다수를 차지한 빈민들, 그리고 농촌지역 주민들의 항쟁 참여 실상과 항쟁이 주민생활에 미친 영향 등을 더 깊숙이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교수는 "10월 항쟁은 일회성 항쟁이 아니라 이후의 항쟁사건과 민간인희생사건과 연결된 사건이며, 주민들의 삶과 한국정치지형에 큰 영향을 미친 사건"이라면서 "항쟁이후부터 한국전쟁으로 이어지는 사건 관련자들의 행적과 활동, 이에 대한 군경의 대응 등을 좀 더 거시적으로 고찰할 필요가 있다"고 결론지었다.

'해방, 분단, 전쟁, 그리고 대구'라는 주제발표를 한 허종 교수는 "해방 후 대구에서는 사회주의자와 민족주의자, 우파세력이 참여해 '건국준비경북치안유지회'를 발족하면서 좌우세력의 첫번째 합작이 이뤄지고, 신탁통치 반대를 위한 '조선신탁관리반대공동투쟁위원회' 결성으로 두번째 합작을, 1946년 6월 미군정이 제안한 '대구공동위원회' 참여로 제3차 좌우합작을 이뤘다"면서 "대구공동위원회는 심각한 식량문제를 비롯해 당시 미군정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웠던 지역현안을 풀어나가고자 한 기구였다"고 설명했다.

허 교수는 "하지만 9월 총파업과 10월 항쟁으로 대구지역은 좌우연합이 무너지고 이후 △국립서울대학교안 △임시정부 수립운동 △남한 단독선서·단독정부 수립 등으로 좌우대립이 격화되었으며, 정부수립과 반공체제 강화로 이어지면서 좌파세력은 전면적인 무장투쟁으로 전환했다"고 밝혔다.

허 교수는 이날 "대구가 1950~60년대 민주화운동의 근거지가 된 것은 △6·25전쟁 때 북한군에 미점령 △해방정국 일부 진보적 인사들 건재 △다른 지역 진보적 인사 및 정치인, 언론인, 문화예술인 유입 및 활동 △이승만 정권과 자유당을 향한 언론계의 비판적 성향과 논조 등이 시민들의 정치의식 정립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박종문기자 kpjm@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박종문 기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