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헌당규해석·李반발 등 난제…국민의힘 비대위 전환 가능할까

  • 정재훈
  • |
  • 입력 2022-07-31   |  발행일 2022-08-01 제3면   |  수정 2022-07-31 18:46
당헌당규해석·李반발 등 난제…국민의힘 비대위 전환 가능할까
국민의힘 권성동 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2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최고위원들이 잇따라 사퇴 의사를 표명하면서 당의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전환 여부에 정치권의 관심이 쏠린다. 다만 이준석 대표 및 친이준석계의 반발과 비대위 전환 조건인 '최고위 기능상실'이라는 당헌·당규에 대한 해석이 엇갈리는 만큼 당분간 여당의 혼란상은 이어질 전망이다.

31일 국민의힘 권성동 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직무대행 역할에서 물러나고, 조속히 당을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권 원내대표는 자신의 SNS를 통해 "당이 엄중한 위기에 직면했다"며 "국민의 뜻을 충분히 받들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여러 최고위원들의 사퇴 의사를 존중하며 하루라도 빠른 당의 수습이 필요하다는 데 저도 뜻을 같이 한다. 저 역시 직무대행으로서의 역할을 내려놓을 것"이라며 "조속한 비대위 체제로의 전환에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조수진·윤영석 의원은 입장문을 내고 최고위원에서 사퇴했다. 배현진 의원이 지난 29일 최고위원 직을 내려놓았기에 현재 최고위에는 당연직인 권 원내대표와 성일종 정책위의장을 제외하고 친이준석계로 분류되는 정미경 최고위원, 김용태 청년최고위원만 남았다.

정치권은 이같이 수면 위로 떠오른 비대위 카드가 친윤계 의원들의 지속적인 권 원내대표의 퇴진 요구와 일부 강성파 의원들의 '조기 전당대회' 요구가 맞아떨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때문에 당권을 둘러싼 당내 권력다툼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벌써 정치권에서는 차기 당권 주자로 분류되는 안철수 의원이나 김기현 의원의 움직임이 빨라질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특히 비대위는 차기 전당대회로 가는 '원포인트 릴리스'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전당대회를 통해 새 당 대표를 선출하기 위한 조직인 만큼 비대위 선출 시 당원권 정지 6개월로 당분간은 복귀가 어려운 이 대표가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대표직에서 물러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전대 시기에 따라서는 차기 당 대표 출마도 어려워질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는 상황이다.

문제는 이준석 대표 및 친이준석계 인사들의 반발로 당내 갈등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이 대표는 즉각 자신의 페이스북에 "양의 머리를 걸고 개고기를 팔지 말라 했더니 이제 개의 머리를 걸고 개고기를 팔기 시작하려는 것 같다"며 "저자들의 우선순위는 물가안정도 아니고 제도 개혁도 아니고 정치혁신도 아니다"라고 일갈했다.

이 대표는 앞서 여의도를 '그 섬'이라고 지칭, '양두구육'(羊頭狗肉·양 머리를 걸고 뒤에선 개고기를 판다)이라는 표현을 써가며 비판한 바 있다. 이 대표의 이번 지적 역시 비대위 전환을 요구하는 '윤핵관'들을 겨냥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는 상황이다. 다만 이 대표의 측근인 김용태·정미경 최고위원은 사퇴할 뜻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비대위로 전환되면 이 대표의 복귀가 원천적으로 차단돼, 최고위원회를 유지하려는 방편으로 읽힌다.

정치권은 당헌·당규상 규정된 비대위 전환 요건이 '당 대표의 궐위'와 '최고위원회의 기능 상실'인 상황에서, 이둘 모두 현 사태를 반영하기는 어렵다고 지적한다. 앞서 국민의힘은 이준석 대표의 징계 상태를 '궐위'가 아닌 '사고'로 유권해석을 내린 바 있다.

따라서 국민의힘이 비대위로 지도체제를 바꾸려면 최고위원 사퇴 등을 통한 당 지도부 해체로 인해 최고위의 의결 기능이 무력화돼야 한다. 더욱이 현행 당헌당규상 비대위원장 임명은 전국위 의결을 거쳐 당 대표 또는 당 대표 권한대행만 할 수 있다는 점도 추후 논란이 될 가능성이 있다.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이번 주 중 비대위 체제 전환을 위한 논의가 시작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의원총회를 여는 등 당내 의견수렴 절차를 거쳐 비대위 전환 요건에 대한 해석을 두고 결론을 내리겠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친윤계 의원들의 일방적인 시도가 이어질 경우 일부 반발이 터져나올 가능성이 높기에 당의 내홍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