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수소생산·저장기술 없고 액화수소 운송능력 부족…운반선서 가능성 찾아야"

  • 마창성
  • |
  • 입력 2022-08-05 07:25  |  수정 2022-08-05 07:34  |  발행일 2022-08-05 제9면
환동해 국제심포지엄 종합토론
팬데믹·전쟁 후 글로벌경제
자국 이익 보호경향 강해져
중장기적 관점 접근 필요성

4일 오후 포항시청에서 열린 제10회 환동해 국제심포지엄 종합토론에선 러·우 전쟁과 신냉전 경제블록의 형성에 따른 새로운 국제정세에서 환동해 중심도시 포항의 신성장 산업에 대한 비전과 대응 전략 등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뤄졌다.

이날 강명수 포항대 교수는 "러·우 전쟁의 장기화는 탈냉전 질서의 재편과 신냉전 경제블록 형성, 미·중 패권 경쟁 심화, 민주주의 진영과 권위주의 진영 간의 대립 구도를 낳으며 동북아시아와 한반도 및 환동해권에도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글로벌 대전환의 파고를 헤쳐나가야 하는 포항시는 기초지자체로서의 한계가 노정(露呈)될 수밖에 없는 측면이 있다"고 강조했다.

방청록 한동대 교수는 "최근 국제질서가 미·중 간 패권 경쟁 심화, 다자주의 국제협력 약화, 국제경제 관계에서의 자국우선주의와 보호무역주의 확산, 글로벌 가치사슬 개편 가속화 등과 같이 급변하는 시점에서 열리는 이번 심포지엄은 매우 시의적절하고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지난해 EU가 신통상 정책의 핵심 개념으로 제시했던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의 개념과 교역대상국에 대한 불공정 무역관행으로부터 자국의 경제적 및 산업적 이익을 보호하려는 목적에서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통상정책을 수립하는 경향이 강해지는데 이의 대응 방안 마련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바딤 슬랩첸코 한림대 러시아연구소 연구교수는 "러·우 전쟁 이전에 러시아 에너지부가 작성한 '수소 경제 발전을 위한 프로그램' 초안에 따르면 러시아는 중국, 일본, 한국, 독일에 수소를 수출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예상됐으며 이들 국가에 2030년까지 총 950만t의 수소를 수출할 가능성이 높았다. 하지만 현재는 이 프로그램을 조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 상황에서 수소 에너지 분야에서 한국과 러시아의 협력은 불가능하지만 중기적으로 협력을 재개해야 할 것"이라며 "현재 러시아는 수소 생산, 저장 및 운송에 대한 완전한 기술이 없고 액화 수소의 운송이 특히 약하다. 이와 관련해 한·러 협력은 액화수소 운반선(탱커) 건조에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고 덧붙였다.

신상협 경희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한국과 중국 양국 간의 경제협력 관계가 과연 정치적 환경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지 궁금하다"며 " 정치적인 목적을 위해서 경제를 이용하고자 하는 등 정치와 경제가 하나가 돼가는 요즘 상황을 고려해 봤을 때 북한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정말로 정치적 영향을 받지 않는 한국과 중국 양국 간의 경제 관계가 가능한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김욱 건국대 글로벌비즈니스학과 교수는 "올해는 한·중 수교 30년이 되는 해다. 수교 이후 양국의 무역 규모는 엄청나게 확대됐고, 중국은 한국 수출의 중요한 시장으로 거듭났지만 국제 정세가 바뀜에 따라 한·중 관계에서도 변화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김 교수는 "역내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3(한국·중국·일본) 등 다자 협력 증진방안에 동참해 한·중 경제파트너십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마창성기자 mcs12@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마창성 기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획/특집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