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대통령이 29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
![]() |
국민의힘 이준석 전 대표가 지난 17일 오후 서울남부지법에서 당 비상대책위원회 효력을 정지해달라며 낸 가처분 신청 사건의 심문을 마친 뒤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
국민의힘 내홍이 갈수록 심화되는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의 행보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당 내분 수습 여부와 그 방향에 따라 국민의힘 당내 권력 구도는 물론 윤 대통령의 국정 장악력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윤 대통령이 이준석 전 대표와의 회동을 시작으로 당 쇄신에 직접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국민의힘은 지난 26일 법원의 가처분 신청 결정에 따라 새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지만, 당 내 찬반 여론이 팽팽해 방향을 잡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이 전 대표 측 법률대리인단이 29일 "무효인 비대위가 임명한 '무효 직무대행'과 '무효 비대위원'은 당을 운영할 적법한 권한이 없다"며 비대위 활동 중단을 위한 추가 가처분까지 신청했다. 사실상 국민의힘 비대위와 관련된 모든 것을 막는 법적 조치에 나선 셈이다. 국민의힘이 비대위를 강행, 조기 전당대회를 거쳐 새 지도부를 구성하더라도 향후 법적 논란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문제는 이같은 이 전 대표측의 공세적 대응과 장외 여론전을 중단시킬 대안이 없다는 점이다. 국민의힘 의원들도 "이 전 대표의 가처분 신청 등 당에 대한 공격을 멈추게 할 방법이나 설득할 인물이 없다"고 난감해하고 있다. 최근 중립적 입장에서 당을 운영했다는 평가를 받은 주호영 비대위원장조차 이 전 대표를 설득하지 못했다. 이 전 대표를 옹호하고 있는 최재형·하태경·조해진 의원 등도 당을 비판할 뿐 양측의 가교 역할은 하지 못하고 있다.
국민의힘 자체적으로 내홍을 해결할 능력이 없는 것이다. 이에 따라 윤 대통령이 직접 이 전 대표와의 회동, 윤핵관 2선 후퇴 등 당 쇄신을 진두지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배경이다. 대통령실이 정무 라인 쇄신 등을 단행하고 있는 것은 이같은 향후 광폭행보에 대한 정지작업일 수도 있다.
이 전 대표 측 관계자도 영남일보와의 전화 통화에서 "이 문제(당 내홍)는 윤석열 대통령과 이 대표가 공식 또는 비공식으로 만나는 것이 가장 빠른 해결책이 될 것"이라며 "윤 대통령이 신뢰를 바탕으로 이 대표에 만남을 제안하면 거부할 이유가 없지 않냐"고 말했다.
문제는 당장 만난다 하더라도 대승적 차원의 대화합이 이뤄질지 미지수란 점이다. 대표 징계, 가처분, 법원 인용, 당내 규정 수정을 통한 재대응 방침 등 여러 상황이 꼬여 있어 양측의 감정 순화를 위한 일정 기간의 숙려 기간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임호기자 tiger35@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