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달 31일 경남 창원시 진해구 부산신항 한진터미널에서 열린 제7차 비상경제민생회의를 마친 뒤 곧바로 열린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준비상황 점검 회의에서 자료를 검토하고 있다. 연합뉴스 |
윤석열 대통령이 최근 여당 의원들에게 SOS를 통해 '윤핵관' 문제를 언급한 것으로 전해지자 대통령실이 "사실과 맞지 않다"면서 적극 반박했다.
대통령실 측은 당의 민주적 운영 즉 당무에 개입하지 않는다는 윤 대통령의 원칙을 강조하며 앞으로도 여당의 문제에 거리를 두겠다는 뜻을 명확히 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이 여당 의원에게 도와달라는 부탁을 한 적이 없다. 그럴 이유도 없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정치권 및 언론보도에 따르면 윤 대통령이 최근 당 의원들에 도와달라는 뜻을 전했고 일부 의원들에게는 "윤핵관이 자기 정치만 한다. 나라와 당을 위한 정치는 하지 않는다"며 불만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대통령실 측은 이에 대해 "대통령은 그간 일관되게 의원들이 중지를 모아 내린 결론을 존중한다는 입장을 피력했다"면서 당무에 개입하지 않는다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의원들이 치열한 토론을 통해 합당한 결론을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는 취지이며 지금도 그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며 "의원들이 중지를 모아 내린 결론을 기대하고 그런 민주적인 운영을 바란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렇게 해야 당내 민주주의가 성장하고 실현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외에도 "국정 운영이나 국정 과제 추진을 위해 당원인 대통령이 소속 의원과 의견은 나눌 수 있다. 연찬회도 가지 않았는가"라며 "연찬회에서 나눌 수 있는 부분은 안정적 국정운영을 위해 협력해야 한다는 것으로 그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없다"고 했다.
정치권은 대통령실이 이같이 적극적으로 반박에 나선 것은 혼란한 당의 상황을 정리하는 등 윤 대통령이 직접 당을 배후에서 움직이고 있다는 '당무개입' 의혹을 차단하기 위함으로 풀이했다. 즉 최근 윤 대통령이 '대통령실 인적 쇄신'을 통해 추락한 국정 지지도 반등에 나선 상황에서, 여전히 내홍을 겪고 있는 여당과 거리두기에 나섰나는 분석이다.
이외에도 윤 대통령이 최근 '윤핵관' 권성동·장제원 의원과 거리를 두고 있다는 정치권의 평가에 대해서 대통령실 관계자는 "사실 관계가 분명치 않은 부분이 있다. 수석이나 대변인이 참석하지 않는 상황에 대해서는 알 길이 없고 구체적으로 말할 수 없음을 양해해달라"고 말을 아꼈다. 시민사회단체가 강승규 시민사회수석의 사퇴를 요구한 것을 두고는 "아직 인지를 못했다"며 "상황 파악한 뒤 입장을 밝히겠다"고 했다.
한편 대통령실은 '용산 이전'에 따른 비용이 당초 발표했던 496억원보다 크게 늘어났다는 야권의 지적에 대해 "이사(이전) 비용은 496억원이 맞다. 보도에 나온 비용은 각 부처의 부대 비용"이라고 해명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부대 비용은 각 부처에서 필요에 따라 자체적으로 전용하는 예산이다. 이전이 아니었으면 발생하지 않을 비용이기는 하겠으나 그렇다고 국무회의에 올렸던 (496억) 예산 취지에 위배된다는 것은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