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책] 요즘도 신문 봅니까?

  • 성병조 수필가
  • |
  • 입력 2022-09-05  |  수정 2022-09-05 08:18  |  발행일 2022-09-05 제20면

[문화산책] 요즘도 신문 봅니까?
성병조 (수필가)

나는 상당한 신문 예찬론자입니다.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신문을 읽자고 주장하는 신문 전도사에 가깝습니다. 내가 본격적으로 신문을 읽기 시작한 것은 대학 시절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일찍 캠퍼스에 도착하면 먼저 도서관을 찾아 그날 신문을 두루 섭렵합니다. 바쁠 때는 헤드라인만 보고 지나치기도 하지만 하루도 들르지 않으면 '입에 가시가 돋는' 지식 충전소였습니다.

군에 가서도 신문과의 거리는 멀어지지 않았습니다. 보도 사병으로 근무하면서 부대신문을 제작한 것도 평소 신문에 관심이 컸기 때문입니다. 바깥소식에 목마른 장병들에게 전하는 간추린 정보는 시원한 청량제였습니다. 사회생활이 시작되고부터 구독 증세는 더욱 심해져 매일 두세 종의 신문은 거의 읽는 편입니다. 특히 지역 신문 기사는 바로 내 이웃의 이야기여서 더욱 정감이 갑니다.

오랜 습관대로 새벽 일찍 일어나 대문을 열면 신문은 벌써 도착해 있습니다. 기상이 빠른 독자에 대한 배려임을 모를 리 없습니다. 예전에는 배달이 늦기라도 하면 새벽 운동하는 셈 치고 지국으로 달려가 신문을 가져오기도 하였습니다.

인터넷의 영향으로 신문 구독자가 줄고 있어 안타깝습니다. 시대 변천 따라 바뀌는 취향을 탓할 수는 없지만 한 번쯤 뒤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어느 유명 경제인은 매일 새벽 다섯 시에 일어나 서너 종의 신문을 읽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그는 입버릇처럼 "트렌드를 아는 데는 신문만 한 것이 없다"고 말합니다.

사이버 공간에서 접하는 기사와 지면을 통해 읽는 것과는 차이가 큽니다. 인터넷에서 읽는 데는 여러 제약이 따르며 정돈된 기사까지 골고루 섭취하기는 어렵습니다. 책 한 권 값에 불과한 구독료요, 모아두면 소중한 재활용품이 되는 신문만큼 값싸고 유익한 게 어디 있을까 싶습니다.

TV나 라디오보다는 신문이 우리의 정서를 한결 풍요롭게 해 줍니다. 신문은 폭넓은 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아날로그적 감성이 살아있는 정보의 창고입니다. 신문 사설과 칼럼을 오래 읽은 사람은 다방면에 해박하며 말과 글이 조리 정연하고 세련미가 풍깁니다.

어린 시절부터 신문 읽는 버릇을 기르면 사고력과 논리력이 향상되어 논술 시험에도 크게 도움이 됩니다. 각종 퀴즈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는 사람은 예외 없이 한두 신문을 매일 정독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책 읽기가 힘들다는 요즘일수록 신문 읽기의 생활화는 보다 강조되어야 할 것입니다.

성병조 (수필가)

기자 이미지

성병조 수필가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문화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