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성주의 주한미군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기지 앞에서 연일 시위가 벌어지고 있다. 정부의 사드기지 지상 접근 정상화 조치에 시민단체와 해당 지역 주민들이 반대 집회에 나선 것. 국방부와 주한미군은 지난 4일 불도저와 유류차 등 차량 10대에 나눠 실은 물자를 기지로 지상 반입하는 데 성공했다. 새벽 시간대 기습 작전을 펼쳐 사드반대 단체의 3불 정책(유류·장비·미군의 육로이동금지)을 무력화했다. 이로써 미군의 상시 지상접근권이 본격화됐다고 볼 수 있다.
성주 사드기지 설치 문제로 갈등이 일어난 지 벌써 7년째다. 해당 지역인 초전면 소성리 지역 주민들의 심적 고통에도 성주군과 정부의 협의는 한 걸음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시위 현장에 시민단체들이 가세해 이 문제를 정치 쟁점화함으로써 해결이 더 어렵게 된 측면이 있다. 지난 4일 집회에는 민주노총과 금속노조 등 시민사회단체, 진보당 울산시당 관계자들이 참여했다. 사드기지 설치에 따른 피해 최소화와 해당 지역 주민 보상이란 본질보다 정치색 짙은 구호가 앞섰다. 이들 단체는 '미국의 위험한 신냉전에 뛰어든 윤석열 정부' '불법 사드 원천 무효'란 전단을 돌리기도 했다. 사드의 임시 배치라곤 하지만 사실상 정식 배치나 진배없다. 현실성이 떨어진 정치 구호보다 지역 주민들이 공감할 수 있는 피해 회복 조치가 시급하지만 이들을 위한 목소리는 없다.
주민 여론을 모아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할 성주군은 여전히 침묵하고 있다. 해당 지역 주민들과 뜻을 함께한다는 것인지, 정부와 협의 중임으로 기다려달라는 입장인지 속내를 알 길이 없다. 사드는 단순히 환경단체나 해당 지역 주민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성주군과 군의회의 적극적 중재 등의 목소리가 필요한 시점이다.
성주 사드기지 설치 문제로 갈등이 일어난 지 벌써 7년째다. 해당 지역인 초전면 소성리 지역 주민들의 심적 고통에도 성주군과 정부의 협의는 한 걸음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시위 현장에 시민단체들이 가세해 이 문제를 정치 쟁점화함으로써 해결이 더 어렵게 된 측면이 있다. 지난 4일 집회에는 민주노총과 금속노조 등 시민사회단체, 진보당 울산시당 관계자들이 참여했다. 사드기지 설치에 따른 피해 최소화와 해당 지역 주민 보상이란 본질보다 정치색 짙은 구호가 앞섰다. 이들 단체는 '미국의 위험한 신냉전에 뛰어든 윤석열 정부' '불법 사드 원천 무효'란 전단을 돌리기도 했다. 사드의 임시 배치라곤 하지만 사실상 정식 배치나 진배없다. 현실성이 떨어진 정치 구호보다 지역 주민들이 공감할 수 있는 피해 회복 조치가 시급하지만 이들을 위한 목소리는 없다.
주민 여론을 모아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할 성주군은 여전히 침묵하고 있다. 해당 지역 주민들과 뜻을 함께한다는 것인지, 정부와 협의 중임으로 기다려달라는 입장인지 속내를 알 길이 없다. 사드는 단순히 환경단체나 해당 지역 주민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성주군과 군의회의 적극적 중재 등의 목소리가 필요한 시점이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