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군수직 인수위 백서 '직위공모제' 관련 누락 논란

  • 박성우
  • |
  • 입력 2022-09-14  |  수정 2022-09-13 16:11  |  발행일 2022-09-14 제9면
당시 행정개혁 차원 '전문임기제 도입'과 함께 검토

실무자 "단순한 누락일 뿐" 해명

경북 청도군이 최근 공개한 청도군수직 인수위원회(이하 인수위) 백서에 행정개혁 차원에서 검토됐던 '직위공모제' 관련 내용이 빠져 논란을 빚고 있다.

청도군 등에 따르면 지난 6월7일부터 20여 일간 활동했던 인수위는 전문임기제 신설과 직위공모제 도입을 두 축으로 하는 공직사회 개혁을 검토했다.

청도군수 직속기관으로 하는 전문임기제는 공약을 총괄하는 미래전략정책보좌관직을 신설하고 대외협력과 감사기능 등을 강화하기 위해 담당관제로 확대개편하는 방안으로 가닥을 잡았다.

이에 따라 현재 미래전략정책보좌관과 대외협력담당관제를 도입하기 위한 조직개편작업을 추진중이다.

또 한축인 직위공모제는 그간 특정 직군에서만 독식해 온 기획·행정·예산담당 등의 주요 보직을 4개 직렬로 확대·개방해 능력위주로 선발하는 방식이다. 공직사회 개혁은 물론 공직사회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하고 적극 도입키로 했다.

다만 직위공모제가 직원의 인기 투표 위주로 흐른 과거의 폐단 등을 고려해 '오디션' 방식을 도입해 지원자의 정책과 비전,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선발하는 등의 구체적 방안까지 당시 논의됐다.

하지만 공개된 백서에는 인수위에서 검토했던 군수 공약 사업 중 이 부분이 누락됐다. 특히 인수위가 해산한 후 인수위원장은 백서 제작 과정에서 이 부분이 빠진 사실을 알고 재차 반영할 것을 지시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인수위 해산 뒤 백서 편집 실무자는 "당시 인수위 1분과(기획행정분과)에서 올라온 1차 자료에는 직위공모제와 관련된 내용이 없었다"며 "공약을 모두 챙기지 못해 생긴 단순한 누락이다"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일부 공무원은 "한 직렬의 독점은 시대착오적일 뿐 아니라 현재 구조적으로 인물난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복수직렬과 이에 따른 직위공모제는 도입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191쪽 분량의 백서에는 대규모 위락 및 종합레포츠단지·지역특화 산업단지·대규모 전원주택단지·도시 광역철도망 등 주요 공약을 포함한 7대 분야 83개 세부사업을 담고 있다.

박성우기자 parksw@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박성우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