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민의힘 이양희 윤리위원장이 18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중앙당 윤리위원회 시작 전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국민의힘 윤리위원회가 18일 긴급회의를 소집하고 이준석 전 대표에 대한 추가 징계 절차 개시를 의결하면서 당과 이 전 대표 간 갈등이 극단으로 치닫고 있다.
윤리위는 이날 오후 3시부터 3시간 동안 국회에서 전체회의를 열고 이 전 대표의 추가 징계 정차 개시를 결정했다. 이양희 윤리위원장은 언론 브리핑을 통해 "당원, 당 소속 의원, 당 기구에 대해 객관적인 근거 없이 모욕적, 비난적 표현을 사용하고, 법 위반 혐의 의혹 등으로 당의 통합을 저해하고 당의 위신을 훼손하는 등 당에 유해한 행위를 했다"고 징계 절차 개시 이유를 설명했다. 윤리위는 이 전 대표의 징계 절차 심의는 추후 일정을 조율해 결정하기로 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지난달 27일 열린 의원총회에서 이 전 대표가 앞선 기자회견에서 윤석열 대통령 등을 비판하며 '개고기', '양두구육', '신군부' 등의 발언을 한 데 대해 신속한 추가 징계를 촉구했다.
28일에는 이 전 대표가 제기한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에 대한 법원의 가처분 심리가 예정돼 있다. 이 경우 이 전 대표에 대해 가장 높은 수위의 징계인 '제명' 결정을 내리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온다.
이 전 대표가 지난 7월8일 '당원권 6개월 정지' 처분을 받은 가운데, 당헌당규에 추가 징계를 할 경우 이보다 더 높은 수위의 징계를 내리게 돼 있어 '탈당 권유' 또는 '제명' 처분만 남은 상황이다.
이 위원장은 오는 28일 윤리위 회의에서 이 전 대표에 대한 징계 수위가 결정나는지 묻는 말에 "이 전 대표에 대한 징계 심의는 추후 일정을 조율해서 추후 결정하기로 했다"며 "28일에 (징계수위 결정을) 할지 안할지 모르겠다"고 답했다.
당초 보다 열흘 앞당겨진 윤리위 개최에 '윤심'(尹心·윤 대통령 의중) 논란도 불가피해 보인다. 윤 대통령과 대통령실이 당무 불개입 원칙을 견지하며 이 전 대표 사안 관련 언급을 극도로 자제하고 있는 가운데 '내부총질' 메시지 파문 이후 이 전 대표 징계 문제와 윤심 연관성에 여러 분석이 이어져 왔다. 전날(17일) 이 전 대표가 성 상납 의혹 등과 관련, 경찰에 출석해 조사받았고, 윤 대통령이 영국·미국·캐나다 3국 순방길에 오른 당일 윤리위가 소집됐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이 전 대표는 경찰 조사 다음날 당 윤리위가 개최되는 것을 두고 "오비이락이길 기대한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이 전 대표는 또 페이스북에 "윤핵관의 이익을 위해서, 그들이 무리수를 둘 것"이라는 글을 올리며 윤리위를 비판했다.
이 전 대표는 윤리위가 자신에 대해 '제명' 결정을 할 경우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내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이 전 대표는 윤리위 조기 소집에 대해서 지난 16일 자신의 SNS에 "와우. 대통령 출국 시점에 맞춰. 바로 직후에"라고 비꼬는 글을 올렸다. 윤 대통령에게 미칠 정치적 파장이 최소화될 수 있는 시점에 맞춰 자신에 대한 추가 징계를 속도전식으로 처리하려는 포석이 깔렸다는 의구심을 제기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윤리위는 오는 28일 전체회의를 열고 '수해 봉사 현장 실언'으로 물의를 빚은 김성원 의원을 비롯해 윤리위 규정 위반으로 징계 절차가 개시된 권은희, 김희국 의원을 상대로 본인 소명을 들은 뒤 징계 여부와 징계 수위를 논의할 계획이다.
임호기자 tiger35@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