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1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의원총회에서 신임 원내대표로 선출된 주호영 의원(왼쪽 세번째)이 정진석 비대위원장 등 지도부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국민의힘과 이준석 전 대표에게 운명의 한 주가 시작됐다. 이 전 대표가 제기한 3·4·5차 가처분에 대한 법원의 일괄심리와 국민의힘 윤리위원회가 오는 28일 같은 날 개최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이 전 대표가 제기한 가처분이 일부라도 인용될 경우 국민의힘은 어렵게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 시즌2'가 공중분해 되면서 주호영 원내대표 체제로 조기 전당대회를 개최해야 하는 혼란스러운 상황에 빠지게 된다. 이 전 대표 역시 당 윤리위의 추가 징계 결과에 따라 정치 생명을 좌우하는 상황을 맞게된다.
국민의힘은 당헌·당규까지 개정해 정진석 위원장이 이끄는 비대위를 구성한 지 보름 만에 최대 위기를 맞은 셈이다. 당내에서는 지난 1차 비대위 때와는 다른 결론이 나올 것으로 조심스레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최악의 경우 법원이 이 전 대표의 손을 들어줄 경우, 당은 대혼돈에 빠지게 된다.
3차 비대위를 추진 할 수 없는 만큼 주호영 원내대표가 당 대표 권한대행을 맡아, 원톱으로 정기국회를 이끌어가야 한다. 또다시 비대위를 구성하는 혼란을 반복하기보다는 주 대표 체제에서 당을 안정시킨 후 빠르게 전당대회를 개최해 새 지도부를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국민의힘의 한 초선 의원은 "주 원내대표 선출 자체가 이 전 대표의 가처분 인용을 예상한 조치라고 보면 된다"며 "당장 급한 것은 안정적 정기국회 운영과 빠른 지도부 구성"이라고 말했다.
![]() |
국민의힘 이준석 전 대표가 지난 14일 서울 양천구 서울남부지방법원에서 열린 국민의힘 당헌 효력 정지 가처분 심문을 마친 뒤 법원을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
가처분 심리와 같은 날 열리는 윤리위의 이 전 대표 추가 징계 심의도 뇌관으로 꼽힌다. 당 안팎에선 이 전 대표 추가 징계 가능성을 크게 보고 있다. 윤리위는 이 전 대표의 '신군부', '양두구육' 등 발언의 적절성 여부뿐 아니라 가처분 신청으로 당과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것도 당헌·당규에 어긋나는지 살펴볼 것으로 알려졌다. 윤리위는 지난 22일 입장문을 내고 "본인의 정치적 입장과 이해관계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가처분 행위를 한 것"이라며 "당헌·당규에 따른 당내 민주적 의사결정 절차와 행위를 배격하는 것으로 비친다"고 비판한 바 있다.
추가 징계 수위로 최소 '당원권 정지 3년'부터 최대 '제명'까지도 거론되고 있다. 윤리위 징계 강행 시 이 전 대표 측 반발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 전 대표는 이미 윤리위 추가 징계 시 '6차 가처분' 신청을 예고한 바 있다. 당원권 정지 3년 이상의 징계가 내려진다면 이 전 대표로선 총선 출마를 포함해 향후 정치 행보도 치명타를 피할 수 없게 된다. 제명 결정이 내려진다면 사실상 국민의힘에서는 더 이상 정치를 할 수 없다. 국민의힘과 이 전 대표 모두 오는 28일 정치적 운명을 가르는 순간을 맞이할 수밖에 없는 것은 분명한 상황이다. 임호기자 tiger35@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