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포항시민은 안전한가?"…사회단체·지자체 대응 방안 모색

  • 김기태
  • |
  • 입력 2022-09-28 19:07  |  수정 2022-09-29 06:43  |  발행일 2022-09-29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포항시민은 안전한가?…사회단체·지자체 대응 방안 모색
포항 YMCA 등 6개 사회단체로 구성된 '후쿠시마오염수방류반대 포항시민행동'은 28일 오후 포항시 북구 포항시장원봉사센터 대회의실에서 내년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에 따른 공동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간담회를 열었다.

일본이 내년에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의 해양 방류를 예고한 가운데 지자체와 지역 시민단체가 협업을 통해 이를 막기 위한 자료를 모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반면 지자체 관계자는 방류에 따른 피해가 검증되지 않았다며 문제가 있는 것처럼 호도하면 국내 수산물 소비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의견을 내 시각차를 드러냈다.

 

경북도·포항시와 사회단체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와 관련해 처음으로 머리를 맞댔다. 포항 YMCA 등 사회단체로 구성된 '후쿠시마오염수방류반대 포항시민행동'은 28일 포항시자원봉사센터 대회의실에서 내년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에 따른 공동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간담회에서 도형기 한동대 교수는 "국내외 전문가들의 논문과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 원전 방사능 오염수에는 삼중수소, 세슘 137 등 유전자 변형과 각종 암을 유발하는 물질이 포함돼 있다"며 "일본은 원전 방사능 오염수에 대한 육상 처리도 강구할 수 있으나 현재 포화상태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궁극적으로 해상 처리가 가장 저렴하기 때문에 내년에 해양 방류를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국제법으로는 일본의 방류를 막을 수 없는 게 현실이다.

 

이와 관련해 도 교수는 "일본 내에서도 방사능 오염수 방류를 반대하는 기류가 있으며, 우리는 일본 내 방류 반대 주장 자료를 철저히 파헤칠 필요가 있다"며 "경북도와 포항시 등은 시민사회단체와 협업해 지금부터 반박할 수 있는 자료를 모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북도는 일본의 해양방류에 대해 감정적인 대응보다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경북도 해양수산과 관계자는 "일본 오염수 방류에 따른 국내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우리 정부는 관련 자료를 요구하고 있으나, 일본은 거의 대응을 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오염수에 포함된 삼중수소가 몇 년이 지나 우리에게 온다면, 과연 얼마만큼 피해를 주는지 지금 상황에서는 검증이 안 돼 있다"며 "이런 상태에서 문제가 있는 것처럼 호도한다면 국내에서 수산물 소비 저하로 이어지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고 덧붙였다.


포항시 관계자는 "현재 국내 수산물에 대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 특히 내년 초부터는 방사능 측정 장비를 통해 수산물의 안정성을 확보해 시민 불안감을 없애도록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후쿠시마오염수방류반대 포항시민행동은 앞으로도 간담회를 지속해서 열어 일본 원전 오염수 방류에 따른 공동대응 방안을 모색할 방침이다. 정기석 포항YMCA 사무총장은 "포항은 경북 최대 어업기지다. 일본 오염수 방류에 따른 국내 영향에 대해서 과연 우리가 어떻게 준비할지를 고민해야 한다"며 "중앙정부의 역할이 있고 지방정부의 역할이 있다. 지역 사회단체는 지방정부가 최대한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겠다"고 했다.


한편 간담회에는 경북도·포항시·포항지방해양수산청·포항해경·포항수협·경북생명의숲·포항녹색소비자연대·포항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포항환경운동연합·포항YWCA 등 17개 유관기관에서 20여 명이 참여했다.
글·사진=김기태기자 ktk@yeongnam.com

기자 이미지

김기태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