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일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서울대학교 등에 대한 국정감사가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
국회 교육위원회 국감에서 여야가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징계와 김건희 여사의 경력 문제를 두고 충돌했다.
19일 국회에서 열린 교육위원회의 서울대 등 국립대 등에 대한 국감에서 국민의힘은 직위해제 상태인 조 전 장관의 징계 문제를 집중 공격했다.
정경희 의원은 "2017년 이후 기소된 서울대 교원이 20명이었는데, 조국 교수와 이진석 교수에 대해 징계 요구를 하지 않았다"며 "조국 교수는 단 한 시간도 강의하지 않고 재작년 1월부터 지난달까지 약 8천600만 원의 급여를 챙겼다"고 주장했다.
같은 당 김병욱 의원도 "법원 재판이 끝날 때까지 직위 해제된 채로 월급을 주면서 있는 게 최선인가"라며 "가족이 공동으로 대리시험을 한 게 드러났다. 자녀 시험을 대리해 본, 부정시험을 한 건 서울대 안에서 일어난 일이 아니라 놔둬도 되는 일인가. 대학 측이 멍하니 쳐다보고 있는 게 이해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이에 오세정 서울대 총장은 "이 전 실장은 당시 청와대 소속으로 청와대가 징계를 해야 했고, 조 전 장관은 아직 시효가 남아있어 포괄적 징계가 가능하다"며 "조 전 장관에 대해서는 7월 말 징계 요청한 상태"라고 해명했다.
야당은 김건희 여사의 허위 경력에 대해 공세를 폈다.
더불어민주당 문정복 의원은 "MBA와 EMBA에 따른 학위는 각각 경영학석사와 경영전문석사로 완전히 다른 종류"라며 "김 여사가 국민대 임용 서류를 제출하는 과정에서 경영학석사로 표기했다면 매우 부적절한 행동"이라고 비판했다. 야당은 김 여사의 논문 표절 의혹과 관련해 오는 21일 종합감사에 논문을 지도한 전승규 국민대 교수의 출석을 요구했다.
민주당 강민정 의원은 "지난 4일 국감에 전승규 교수의 불출석을 위해 국민대가 조직적으로 나선 정황이 나타났다"며 "전 교수는 국감을 회피하기 위해 입원한 상태인데, 종합국감 때 휠체어라도 타고 출석해야 한다. 불출석하면 동행 명령을 발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날 오후 5시11분 쯤 야당 간사 민주당 김영호 의원은 "당에 긴급 현안이 발생했다. 여당엔 죄송하지만 중요한 현안을 논의할 시간이 필요할 것 같다"며 감사 중지를 요청했다. 이는 검찰의 민주연구원 압수수색 시도에 박홍근 원내대표가 의원 소집령을 내렸기 때문이다. 곧바로 민주당 소속 유기홍 위원장은 "요청에 따라 감사를 일시 중지하겠다"고 밝혀 교육위 국감이 중단됐다.
임호기자 tiger35@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