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가스공사 국감서 "한국형 LNG선 화물창 품질 논란 1천억원 손실"

  • 임호
  • |
  • 입력 2022-10-21  |  수정 2022-10-20 17:34  |  발행일 2022-10-21 제5면
한국가스공사 국감서 한국형 LNG선 화물창 품질 논란 1천억원 손실
채희봉 한국가스공사 사장이 20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서 열린 한국석유공사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가스공사가 국내 조선사와 함께 개발한 한국형 액화천연가스(LNG)선 화물창의 품질 논란으로 1천억 원 이상 손실을 본 것으로 드러났다.

20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의 한국가스공사 국감에서 국민의힘 양금희 의원은 "한국형 LNG선 화물창이 처음 적용된 SK세레니티호와 SK스피카호가 결함으로 운항 중단되면서 가스공사가 2018년부터 2020년까지 대체선 투입에 지출한 비용은 7천328만 달러"라며 "여기에 운항 중단으로 발생한 LNG 연료 손실분 83만달러까지 합하면 가스공사 손실액은 2년간 총 7천411만달러(1천58억원)에 이른다"고 밝혔다. 이어 "아직 수송비 정산이 완료되지 않아 파악할 수 없는 2021년부터 2022년 손실액을 포함할 경우 피해 규모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국내 조선업계는 전 세계 LNG 선박의 80∼90%를 수주하고 있지만, LNG 저장 탱크인 화물창을 제작하는 기술은 보유하지 못해 해외에 의존하고 있다.


양 의원은 "KC-1 적용 선박에서 발생한 문제를 반면교사 삼아 철저한 품질 시험과 검증을 통해 후속 모델인 'KC-2'를 개발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양 의원은 한국가스공사가 대구지역 경제기여도가 낮다는 점도 지적했다. 가스공사가 대구로 이전한 다음 해인 2015년부터 7년간 수도권에 43%인 34억8천만 원의 연구개발 예산을 쏟아부었지만, 같은 기간 대구경북 권역은 11%인 9억3천만 원에 그쳤다. 올해 계약한 공사·용역·물품 계약 등 1조6천억 원 가운데 대구 지역기업과 계약한 금액은 0.49%인 80억 원 수준에 불과했다.

천연가스를 직수입하는 민간 업자들의 얌체 행위를 규제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김용민 의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가 전체 천연가스 도입 물량의 18.7%를 민간이 차지할 정도로 몸집이 커졌다. 문제는 사업자들이 LNG 가격이 비쌀 때는 수입을 포기하고 쌀 때만 도입에 나서는 이른바 체리피킹 행위를 한다는 것이다. 실제 지난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충돌 위기가 고조되면서 LNG 가격이 급등하자 사업자들은 발전량을 20TWh나 줄였다. 물량으로는 340만 t에 이르는 규모다.

김 의원은 "사업자들이 올 1분기에만 8천387억 원의 영업이익을 거두는 동안 한전은 9조 1천억 원의 적자가 났다. 국민 세금을 들여서 민간업자 배만 불리는 꼴"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채희봉 가스공사 사장은 "(체리피킹 탓에) 가스공사가 대신 비싸게 가스를 들여오게 되고 결국 소비자들에게 비싼 도시가스 요금을 물리게 되는 문제가 생긴다"며 "전력 도매가격 상한제를 통해 이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국민의힘 정운천 의원은 해외자원개발 사업의 잇단 철수를 문제 삼았다. 정 의원은 "우리나라가 해외 자원 사업을 줄이는 동안 그 빈 공간을 중국과 일본이 차지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에 채 사장은 "투자를 시작할 때 경제성을 잘 따졌어야 했는데 저희가 2008년 해외 투자에 나설 때 그런 측면에서 상당히 미흡했다"고 고개를 숙였다.


이날 국감에서 여야 위원들은 올겨울 천연가스 수급에 차질이 없도록 한국가스공사가 만전을 기해 줄 것을 당부했다. 

 

임호기자 tiger35@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