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31일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 마련된 이태원 참사 합동분향소에서 참배를 마친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
여야 정치권이 '이태원 압사 참사'와 관련한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의 '책임회피성 발언 논란'에 한목소리로 질타했다. 더불어민주당뿐 아니라 국민의힘도 "부적절한 발언"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대통령실은 "경찰의 법적, 제도적 권한에 한계가 있어 제도 보완이 필요한 사안"이라며 방어막을 쳤다.
이 장관은 지난 30일 '이태원 사고 관련 긴급 브리핑'에서 "파악하기로는 예년과 비교했을 때 특별히 우려할 정도로 많은 인파가 모였던 것은 아니었다. 경찰과 소방 인력을 미리 배치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었던 문제는 아니었던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발언해 논란을 일으켰다.
이에 정치권은 여야 모두 이 장관의 발언이 부적절했다고 비판했다. 민주당은 국가애도 기간을 맞아 정부에 대한 공세를 자제하면서도, 이 장관의 발언에는 책임을 묻겠다는 강경한 입장이다. 오영환 원내대변인은 대책본부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행안부 장관의 책임 회피성 발언에 대한 지적이 많은 언론과 국민으로부터 있는 것은 저희도 안다. 다만 내일 사고 수습에 방해되지 않는 선에서 최소 인원만 현안 질의 없이 보고만 받기로 한 기조는 이어갈 것"이라고 했다. 이태원 압사 참사에 대한 수습이 마무리되면 책임회피성 발언을 한 이 장관에 대해 책임을 묻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국민의힘에서도 "(이 장관이) 언행을 조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차기 당권 주자 김기현 의원은 이날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국민들의 아픔을 이해하고, 국민들의 아픔에 동참하는 모습이 아닌 형태의 언행은 조심해야 된다"고 꼬집었다. 조경태 의원도 라디오 인터뷰에서 "너무 슬프고 참담한 심정인데 해당 장관의 발언 한마디가 이런 논란을 빚게 하는 것은 참으로 유감스럽다"라고 비판했다. 또 다른 차기 당권 주자인 윤상현 의원은 SNS를 통해 "공직자는 국민에 대한 무한책임을 가져야 한다. 저도 (이 장관 발언을) 아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다만 대통령실은 제도 보완이 필요한 부분도 있다며 두둔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에서 "현재 경찰에 부여된 권한이나 제도로는 이태원 사고 같은 사고를 예방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이해하고 있다"며 "법적, 제도적으로 권한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보완해 나갈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 장관은 이날 오전 서울광장에 설치된 합동분향소를 찾아 헌화한 후 기자들에게 "경찰에서 정확한 사고 원인이 나오기 전까지는 섣부른 예측이나 추측 선동성 정치적 주장 해서는 안 된다는 취지였다"고 해명했다.
임호기자 tiger35@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