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31일 봉화군 소천면 아연광산 매몰 사고 현장을 찾아 윤영돈 봉화소방서장으로부터 사고 브리핑을 듣고 있다. 이 도지사는 도민의 생명을 끝까지 포기하지 말아 달라. 애타게 구조를 기다리는 매몰자와 그 가족들을 위해서라도 최대한 모든 장비와 인력, 행정력을 동원해 구조에 임해 달라고 당부했다. 경북도 제공 |
구조당국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쯤 천공기가 목표 깊이(지하 170m)보다 10m 더 깊이 땅속으로 들어갔다. 구조당국은 시추 작업 중 동공을 찾지 못한 것으로 보아 시추 작업이 생존자들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 지점이 아닌 잘못된 좌표임을 인정하고 새로운 좌표를 찾기 위해 땅속에서 지름 76mm 천공기를 빼내고 있다. 이와 별개로 지름 98mm 크기의 천공기는 시추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 98mm 천공기는 이날 오후 4시50분 기준 지하 76m 깊이까지 도달했다.
시추 작업은 고립된 작업자의 생사를 확인하기 위해 땅속으로 구멍을 뚫고 철제관(시추봉)을 내려보내는 작업이다. 구조당국은 당초 이날 오후만 하더라도 시추봉을 작업자 대피 예측지점까지 도달 시켜 생존이 확인될 경우 98㎜관을 통해 통신시설, 식품, 의약품 등을 내려 보낼 계획이었다. 이날 오후만 하더라도 늦어도 밤 10시쯤이면 작업자 생사가 확인할 것으로 봤다.
구조당국은 76mm 천공기를 땅속에서 빼내는 한편, 1일 오전에 추가로 천공기 1대를 더 투입해 구조작업을 이어갈 계획이다.
구조당국 관계자는 "시추작업의 오차범위 기울기는 3도로 지하 170m까지 내려갔을 경우 9m가량의 오차가 발생한다. 갱도 폭은 4.5m로 오차범위보다 작아 천공기가 실종자가 고립된 공간을 벗어날 수 있다"며 "지름 98㎜ 시추작업도 서둘러 추가로 실종자의 생존을 확인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구조당국은 진입로 확보에도 나서고 있다. 이날 소방당국은 지하 190m 광산 제1수직갱도에 고립된 작업자 구조를 위해 제2 수직갱도에서 선로를 깔며 진입로를 만들어 접근 중이다. 하지만 열악한 갱도 여건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재 2구간에 남은 진입로(95m) 확보를 위해 레일을 활용해 암석과 토사를 치우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한편,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이날 오후 6시쯤 매몰사고 현장을 찾아 수색상황을 점검했다. 이 도지사는 "도민의 생명을 끝까지 포기하지 말아 달라. 애타게 구조를 기다리는 매몰자와 그 가족들을 위해서라도 최대한 모든 장비와 인력, 행정력을 동원해 구조에 임해 달라"고 당부했다.
황준오기자 joono@yeongnam.com

양승진
먼저 가본 저세상 어떤가요 테스형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