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덕수 국무총리가 1일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상황실에서 이태원 사고 중대본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
정부가 이태원 압사 참사를 계기로 주최자가 없는 행사에 대한 안전관리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또 오는 3일부터 인파가 많이 몰리는 지역 축제에 대한 정부 합동 점검을 실시하는 한편 학생 피해자가 많은 점을 고려해 사상자가 있는 학교를 대상으로 심리치료와 정서상담을 실시하고 학생들을 위한 안전교육도 강화할 계획이다.
김성호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1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브리핑을 열고 사상자 현황, 향후 대책 등을 발표했다.
김 본부장은 사고와 관련해 재난 문자 활용이 소극적이었다는 지적에 "재난 문자가 재난 상황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국민들께 위험을 알리고 행동 요령을 알리는 데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그런 부분이 잘 이뤄졌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며 "상황이 겹치면서 재난 문자 활용이 다소 늦어졌던 점이 있었다"고 해명했다. 정부에 따르면 재난안전법상 사회재난 발생 시 상황을 가장 먼저 인지할 수 있는 지자체에서 필요한 사항을 재난문자로 송출할 수 있다. 행안부는 주민대피 등 초동대응이 필요한 경우 지자체가 신속하게 재난문자를 보내도록 지속해서 안내하고 교육을 강화할 방침이다.
또 사망자 용어 사용과 관련해서는 "가해자 책임이 명확히 나오는 부분에 대해서는 희생자, 피해자 용어를 사용하지만, 지금은 그런 상황이 객관적으로 확인되지 않았다"며 "중립적인 용어가 필요해 사망자, 사상자로 사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브리핑에서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사고 당시 응급환자 이송 지연 가능성을 묻는 물음에 "현장진료소가 설치돼 재난의료팀 16팀 정도가 와서 의사들이 상황을 분리했고, 분리한 상황에 따라 이송했다"며 "매뉴얼대로 진행됐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오는 5일까지를 국가 애도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 지자체에서 합동분향소 총 59곳을 운영하고 있다. 합동분향소 종료 기한은 정해지지 않았다. 또 유가족 전담 공무원을 1대1로 매칭해 지원하고 있으며, 장례비는 유가족 주소지 지자체를 통해 최대한 신속하게 지급될 수 있도록 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기준으로 사망자는 156명(외국인 26명), 부상자는 중상 29명 포함 총 151명이다. 이날 0시 기준 사망자 155명 중 빈소 안치자는 122명이며, 안장되거나 본국에 송환된 사람은 4명이다. 나머지 29명은 빈소에 안치되지 않았는데, 여기에는 본국 송환 협의가 진행 중인 외국인도 포함돼 있다.
임호기자 tiger35@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