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어제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정례회의를 마친 뒤 기준금리를 종전 3.00~3.25%에서 3.75~4.00%로 0.75%포인트 올리기로 했다. 네 차례 연속 '자이언트 스텝'이다. 미국의 기준금리 상단이 4.00%까지 오르면서 우리나라(3.00%)와의 금리 차가 1.00%포인트로 확대됐다. 3고(고환율·고물가·고금리)에 허덕이는 한국 경제에 먹구름이 짙어진 셈이다. 미국의 긴축은 달러 강세를 부추겨 환율의 상방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원화 가치가 떨어지면 수입 물품에 더 많은 원화를 사용해야 하므로 인플레이션을 부추길 우려가 있다. 오는 24일 금융통화위원회를 개최하는 한국은행도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 확실시된다. 외국인 자금 유출을 감안하면 미국의 금리 인상을 따라갈 수밖에 없다.
문제는 가계 부채다. 우리나라의 가계 부채는 사상 최고 수준이다. 2천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국제금융협회가 지난달 30일 공개한 올해 2분기 기준 세계 35개국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 부채 비율을 보면 한국이 102.2%로 가장 높다. 국제결제은행(BIS)이 제시하는 가계 부채 비율 임계 수준(80%)을 훨씬 웃돈다. 금리가 인상되면 필연적으로 이자 부담이 커진다. 가계 부채 리스크가 시한폭탄 수준이라는 경고등이 켜진 지 오래다. 집값은 내려가는데, 금리가 치솟으면 대출이자를 감당하기 힘든 사람이 늘게 된다. 가계의 이자 상환 부담이 가중되면 경기를 악화시킨다. 정부는 금리 인상에 따른 부작용을 줄이는데 정책적 역량을 총동원해야 한다. 물가 안정, 가계 부채 리스크, 경기침체 방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통화정책이 절실하다.
문제는 가계 부채다. 우리나라의 가계 부채는 사상 최고 수준이다. 2천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국제금융협회가 지난달 30일 공개한 올해 2분기 기준 세계 35개국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 부채 비율을 보면 한국이 102.2%로 가장 높다. 국제결제은행(BIS)이 제시하는 가계 부채 비율 임계 수준(80%)을 훨씬 웃돈다. 금리가 인상되면 필연적으로 이자 부담이 커진다. 가계 부채 리스크가 시한폭탄 수준이라는 경고등이 켜진 지 오래다. 집값은 내려가는데, 금리가 치솟으면 대출이자를 감당하기 힘든 사람이 늘게 된다. 가계의 이자 상환 부담이 가중되면 경기를 악화시킨다. 정부는 금리 인상에 따른 부작용을 줄이는데 정책적 역량을 총동원해야 한다. 물가 안정, 가계 부채 리스크, 경기침체 방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통화정책이 절실하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