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추워지면서 두껍고 무거운 이불을 꺼내는 가정이 많아졌다. 사람이 평생을 덮고 잠자는 이불에도 건강과 관련된 과학이 숨어있다. 무거운 이불이 실제로 인체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 때문이다. 스웨덴 스톡홀름 카롤린스카 대학병원 연구팀은 불면증과 정신 질환을 앓고 있는 성인 120명을 대상으로 이불의 무게가 불면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두 그룹으로 나눠진 실험 참가자는 4주간 무거운 이불(6~8㎏)과 가벼운 이불(1.5㎏)을 덮고 잤다. 이때 연구팀은 참가자 손목에 센서를 부착해 불면증 심각도 검사(ISI)를 진행했다. ISI 점수가 낮을수록 불면증 증상도 낮아 7점 이하는 불면증이 없는 것으로 진단했다.
연구 결과는 놀라웠다. ISI 점수가 50% 이상 감소한 사람의 비율은 무거운 이불 그룹(59.4%)이 가벼운 이불 그룹(5.4%)보다 훨씬 높았다. ISI 점수가 7점 이하인 사람의 비율도 무거운 이불 그룹(42.2%)이 가벼운 이불 그룹(3.6%)보다 11배 이상 높았다. 무거운 이불을 덮었던 참가자는 피로, 우울증, 불안 증상 감소로 주간 활동이 많아졌다. 연구 결과 분석을 위해 참가자의 호르몬(멜라토닌) 농도를 측정한 결과는 더욱더 놀라웠다. 이불 무게가 가벼울 때보다 무거울 때 인체의 수면 유도 호르몬 농도가 32%나 높아졌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무거운 이불이 몸을 압박하면서 피부감각 신경 활성화로 멜라토닌 분비가 촉진되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불면증으로 고생하는 사람이라면 조금 더 무거운 이불을 덮는 것도 편안한 잠을 자는 방법이 될 수도 있겠다.
백종현 중부지역본부 부장
연구 결과는 놀라웠다. ISI 점수가 50% 이상 감소한 사람의 비율은 무거운 이불 그룹(59.4%)이 가벼운 이불 그룹(5.4%)보다 훨씬 높았다. ISI 점수가 7점 이하인 사람의 비율도 무거운 이불 그룹(42.2%)이 가벼운 이불 그룹(3.6%)보다 11배 이상 높았다. 무거운 이불을 덮었던 참가자는 피로, 우울증, 불안 증상 감소로 주간 활동이 많아졌다. 연구 결과 분석을 위해 참가자의 호르몬(멜라토닌) 농도를 측정한 결과는 더욱더 놀라웠다. 이불 무게가 가벼울 때보다 무거울 때 인체의 수면 유도 호르몬 농도가 32%나 높아졌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무거운 이불이 몸을 압박하면서 피부감각 신경 활성화로 멜라토닌 분비가 촉진되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불면증으로 고생하는 사람이라면 조금 더 무거운 이불을 덮는 것도 편안한 잠을 자는 방법이 될 수도 있겠다.
백종현 중부지역본부 부장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