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민의힘 주호영 원내대표가 25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집권여당 국민의힘은 언제쯤 완전 정상화 될 수 있을까.
윤석열 대통령을 옹립하며 정권교체를 이뤘지만, 이른바 '이준석 대표 징계와 축출 사태'를 겪으며 당은 평시상황이 아니다. 전당대회를 거친 정상적 지도부가 아닌 비상대책위원회가 가동되고 있다. 집권여당으로서는 체면이 서지 않는 현실이다.
당의 정상화는 전당대회를 필요로 한다. 이태원 참사로 주춤했지만 국민의힘 당권 주자들이 다시 몸을 풀기 시작하면서 전당대회 시기가 주목된다. 2024년 4월 총선까지 정치권의 스케줄과 맞물려 있다.
'이준석 사태' 당시 이르면 연내, 늦어도 내년 초 전당대회 개최설이 유력했다. 하지만 이준석 가처분 신청, 이태원 참사의 돌출과 이어지는 국정조사, 민주당 이재명 대표 사법 리스크 등 예기치 못한 변수로 그 시기는 마냥 늦춰지고 있다.
내부적으로는 당무감사도 문제다. 당무 감사를 위한 위원 구성은 마쳤지만, 소요 시간이 남았다. 당규에 따라 당무감사계획을 공표하면 60일 뒤 감사를 실시할 수 있다. 여기다 실질 감사는 전국 당협 전체를 대상으로 할 경우 1~2개월 걸린다. 시간적으로 내년 3~4월에야 끝낼 수 있다.
50 여일에 이르는 전당대회 개최를 위한 물리적 시간도 필요하다. 당 대표 후보들이 전국을 돌면서 광역단위 합동 연설을 해야 하고 방송 토론에도 임해야 한다.
2024년 4월 제22대 총선을 염두에 두면 내년 6월은 전당대회 마지노선이다. 국민의힘 새 지도부가 자신의 색깔을 갖고, 당을 어느정도 장악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총선을 준비해야 하는 조건이라면 1년 전에는 구성되어야 한다. 이런식으로 일정을 맞춰야 내년 12월부터는 정상적인 총선 공천 경쟁이 진행될 수 있다.
국민의힘의 한 의원은 "최대한 시간을 늦춰도 내년 5월을 넘겨서는 안 될 것"이라며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의 임기가 내년 3월 13일, 통상 연장해도 3개월인 만큼 내년 6월 이전에는 전당대회를 마무리해야 한다. 때문에 4월 말이나 5월 초쯤 전당대회를 개최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일부 친윤계(친 윤석열계)를 중심으로 정 위원장의 임기에 맞춰 3월 초 전당대회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비윤계와 당 지도부도 4~5월 전당대회 개최에 힘을 싣고 있다. 전당대회의 시기가 언제 결정되느냐에 따라 당권 주자들의 유불리 계산법도 복잡해지고 있다. 물론 누가 차기 당권을 장악하고, 2024년 총선에 임할 수 있을지는 윤석열 정부 집권여당의 최대 화두다. 임호기자 tiger35@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