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고령층 1인가구 비중, 수도권 빼고 가장 많아

  • 김형엽
  • |
  • 입력 2022-12-07 19:49  |  수정 2022-12-07 19:54  |  발행일 2022-12-08
경북 고령층 1인가구 비중, 수도권 빼고 가장 많아
<통계청 제공>


경북 고령층 1인가구 비중, 수도권 빼고 가장 많아

지난해 전국 70세 이상 고령층 1인 가구가 수도권을 제외하면 경북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통계청이 발표한 '통계로 보는 1인 가구'에 따르면 지난해 70세 이상 1인 가구 중 경북지역 비중이 8.3%로 경기(17.3%), 서울(15.2%) 다음으로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10월 기준 경기(1천357만9천508명)와 서울(944만3천722명) 인구를 감안하면 경북(260만3천389명)지역 고령층 1인 가구가 월등히 많은 셈이다.

지난해 경북 1인 가구는 41만7천 가구로 지역 전체 가구(115만7천 가구) 대비 36.0%로 집계됐다. 이 중 고령층으로 분류되는 60~69세(18.7%)와 70세 이상(25.8%)을 합치면 44.5%로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다.

29세 이하 1인 가구는 16.0%, 30~39세 는 12.0%, 40~49세는 11.5%, 50~59세는 16.0%로 각각 나타났다.

같은 기간 대구의 1인 가구는 32만7천 가구로 전체 가구(100만1천 가구) 중 32.7% 비중을 차지했다. 29세 이하 1인 가구는 18.2%, 30~39세 14.8%, 40~49세 12.6%, 50~59세 16.5%, 60~69세 18.4%, 70세 이상 19.5% 등이다.

한편 지난해 전국 1인 가구는 716만6천 가구로 1년 전보다 52만2천 가구(7.9%) 증가했다. 1인 가구가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3.4%에 달해 10가구 중 3가구가 1인 가구로 나타났다. 2005년 20%에 그쳤던 1인 가구 비중이 2019년 처음으로 30%를 넘어선 데 이어 지난해 또다시 역대 최고치를 경신한 것. 2050년 1인 가구 비중은 39.6%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주거 형태는 월세가 가장 많았다. 월세에 사는 1인 가구 비중(42.3%)은 전체 가구(23.4%)보다 18.9%포인트 높았따. 1인 가구 가운데 절반(50.3%)은 2020년 기준 미혼이었다. 결혼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가장 많은 응답자가 '결혼 자금 부족(30.8%)'을 손꼽았다.

지난해 1인 가구 가운데 취업자는 414만 가구(57.8%)로 집계됐다. 1인 가구의 연간 소득은 평균 2천691만원, 1인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140만9천원이었다.

김형엽기자 khy@yeongnam.com

기자 이미지

김형엽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