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왜 대구의 빈부격차가 유독 심한가

  • 논설실
  • |
  • 입력 2022-12-09  |  수정 2022-12-09 06:42  |  발행일 2022-12-09 제23면

대구지역의 소득·자산 불평등이 심히 우려스러운 지경이다. 그저께 공개된 국세청의 2022년 4분기 공개 국세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대구 근로자의 1인당 평균 총급여액은 3천635만원이다. 이는 전국 1인당 평균 총 급여액인 4천24만원보다 389만원(10.7%) 낮은 수준이다. 8개 특·광역시 중에서는 인천 다음으로 소득이 낮았다. 경북권은 평균 3천726만원이었다. 특히 대구는 총급여액도 낮지만 인상 폭 또한 전국 평균보다 낮다. 지난해 전국 근로자의 평균 급여 인상률은 5.1%이었으나, 대구는 전년 대비 3.8%에 불과했다. 이처럼 근로자 급여 수준이 전국 최하위권인 데 반해 금융소득 종합과세자(금융소득 2천만원 초과)의 1인당 평균 종합소득액은 2억4천930만원으로 전국 3번째로 높았다. 서울(3억9천400만원)이 1위였고 대구는 부산(2억4천940만원)보다 불과 10만원 적어 그 뒤를 이었다.

대구지역의 소득 양극화 현상이 심화하는 것은 코로나19로 저소득층의 소득과 자산은 줄어든 반면 고소득층은 늘어난 탓이 크다. 그런데 비단 우리만의 문제는 아니겠지만 경기 침체의 늪에 빠져들고 있다는 경고음은 여전하다. 경기 침체로 소득과 일자리는 줄어드는데 급격한 금리 인상이 겹쳐 앞으로 빈부격차는 더 벌어질 가능성이 높다.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 대책이 금융부담을 일시 완화해주는 수준에서 그쳐선 안 된다. 민생과 경제 회복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정책 당국은 고공행진 중인 물가를 잡고, 사회 복지와 안전망을 촘촘히 만들어야 한다. 무엇보다 20대의 부채 급증 문제에 대해 실행력 있는 면밀한 대책을 서둘러 강구하길 바란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