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북 농업 대 전환'의 원년이 될 2023년 농·축산·유통분야 예산이 편성됐다.
경북도는 내년도 농·축산·유통분야 예산으로 올해보다 1천71억원(11.5%) 늘어난 1조351억원을 편성했다고 12일 밝혔다. 증액 편성된 예산 중 국비 사업 예산만 880억원(82%)을 차지해, 지방 재정 부담은 최소화하면서 농촌 경제를 살릴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는 평이다.
도에 따르면, 민선 8기 출범 후 '경북 농업대전환 추진위원회'는 4대 분야 25개 과제를 도 농정 역점시책 사업으로 채택했다. 도는 과제 이행을 위해 관련 예산을 집중 편성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전국 최초로 시행하는 '디지털 혁신 농업타운 조성 사업'이 눈에 띈다. 도는 마을 전체를 영농 법인화해 규모의 경제 실현과 스마트팜 등을 구심점으로 공동영농 체계를 만들 계획이다. 이를 통해 청년·기존 농업인이 공존하는 농촌마을을 조성하겠다는 목표다.
이미 구미·문경·예천 등 3개 시·군을 선정했으며 공동영농에 필요한 시설·장비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청년농을 위해선 '지역특화 임대형 스마트팜 조성 사업'과 '임대형 수직농장 조성 사업'도 추진된다. 각각 79억원, 20억원을 들여 청년농을 대상으로 적정 임대료만 받고 스마트팜 경영과 인구유입·지역정착 등을 추진한다.
농업의 고령화 추세를 완화할 수 있도록 청년 농업인 영농정착지원에 90억원을 편성했다. 또 농촌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돌봄마을 시범단지(55억원) 사업도 추진한다.
이와 함께 농산물 산지유통센터 설치(83억원), 농산물 생산유통 기반 구축(37억원) 등 생산·유통·보관 등 전 주기를 지원할 수 있는 예산도 편성했다.
차등 없는 교육 복지 실현을 위해서 친환경 농산물 학교급식(86억원), 초중고 무상급식(87억원) 등 관련 예산을 투입해 청년 부부의 지역 유입을 꾀한다.
미래첨단 농업 육성을 위한 곤충양잠산업 거점단지 조성(71억원) 등도 추진한다. 농촌 주거지 인근 축사·공장 등을 재정비하는 공간정비사업(129억원)도 확대한다.
농업인 소득안정을 위해선 직불제 예산을 총 4천79억원으로 확대 편성했다. 이를 통해 농가 소득 안정과 농업활동을 통한 환경보전, 농촌 유지 등 공익기능 증진 등도 도모한다.
코로나19 장기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수출규제 강화 등 식량 안보 확보와 농업인 부담 완화를 위한 예산도 중점적으로 편성했다.
김종수 도 농축산유통국장은 "2023년 농축산유통분야 예산 1조원 시대를 맞았다. 앞으로 농업대전환을 통해 농업의 기초부터 새로운 성장 동력을 다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했다.
양승진기자 promotion7@yeongnam.com

양승진
먼저 가본 저세상 어떤가요 테스형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