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시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 위탁 처리가 다변화 될 것으로 보인다.
시는 기존 위탁처리업체인 A업체 외에 광역화 에너지화 사업 대상지인 포항 생활폐기물 에너지화 시설(포항 남구)을 사용할 계획이다.
아울러 지난 2003년 준공된 기존 그린환경센터에 중단된 2·3단계 증설 사업을 추진 이를 활용하는 방안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시는 지역에서 배출된 생활폐기물 등을 마현산 쓰레기 매립장, 영천시그린환경센터 등에 매립해오다 지난 2013년부터 도남동 한 소각 전문 처리업체에 1일 발생량 50t 가량을 전량 위탁 처리하고 있다.
이 업체가 독과점 형태로 전량 소각 처리해오자 일부 시민들은 처리단가 과다, 화재 등 공장 가동 중단시 쓰레기 대란 등의 우려를 제기했다.
실제 지난 4일 오후 이 업체에서 화재가 발생해 5일가량 공장 가동이 중지돼 1일 50~55t가량 발생하는 쓰레기 등을 구 영천시그린환경센터 내 임시 야적장에 방치되기도 했다.
이 같은 지적에 따라 영천시는 지난 2008년부터 포항시와 광역화 사업으로 추진해온 포항 남구의 포항 생활폐기물 에너지화 시설에 생활폐기물 반입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포항·영천시는 지난 2008년 환경부·경북도·양 시(市)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광역화 에너지화 사업 대상지 관련 회의를 개최한 바 있다.
이어 지난 2009년 포항·영천시 광역화 사업 협약을 체결 중앙정부로부터 556억원의 예산을 지원 받아 지난 2018년 준공됐다.
광역화 생활폐기물 에너지화 시설은 포항·영천시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조건으로 국비 등을 받아 준공 후 15년간 사용하기로 한 것이다.
한편 최기문 영천시장은 19일 포항을 방문 이강덕 포항시장과 만나 생활폐기물 등 위탁처리에 대한 협의를 가졌다.
이날 최 시장은 "광역사업으로 준공된 만큼 빠른 시일내 영천 생활 폐기물 반입을 허용해달라"고 요청 했으며 이 시장은 "반입은 허용해야 하는데 시간을 두고 검토해 보자"고 답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 따르면 내년 양 시 관계자의 실무부서 협의 등을 거쳐 빠르면 2024년부터 영천 생활 폐기물이 이곳에 반입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나 확실한 시기는 불투명하다.
이와 함께 시는 완산동 그린환경센터 2·3단계 부지 매립장 증설을 위해 내년부터 타당성 조사 및 용역에 착수할 예정이다.
시는 지역 생활폐기물 매립과 소각을 위해 지난 2003년 그린환경센터(면적 14만9천500㎡) 1단계 사업(면적 8만5천200㎡)을 준공했다.
하지만 군부대의 사용허가 불가로 2·3단계 사업이 중단 됐다.
2단계 사업(면적 5만7천300㎡) 부지가 일부 군사시설 보호구역에 포함됨에 따라 2012년 1월 군 부대의 반대로 사업이 중단된 것이다.
시의 간곡한 요청에 군부대는 지난달 10일 대기오염 측정 장치 설치, 해충·침출수 등에 대한 예방대책 등의 조건으로 사용 허가를 받았다.
앞서 3단계 사업(면적 2만7천200㎡)도 같은 해 1월 직통 전화 및 경보전파 수단 설치, 산불 예방 대책 강구 등 조건부 동의를 받은 바 있다.
영천시 김영주 자원순환과장은 "국회에서도 지자체의 관할 구역에서 발생하는 생활 폐기물은 그 관할 구역에서 처리되도록 체계를 확립해야 한다는 등폐기물 관리법이 강화되고 있다"며 "영천시도 장기적으로 그린환경센터 2, 3단계 증설 등을 신중히 검토해나갈 생각"이라고 말했다.
유시용기자 ysy@yeongnam.com

유시용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