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일 경북 경주시 인왕동 양지마을에서 '고청 윤경렬 선생을 기리는 기념관 개관식이 열린 가운데 주낙영 시장이 박임관 관장의 전시작품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경주시 제공> |
신라의 문화·역사를 되살려 그 정신을 전승·보전하고자 헌신한 고청 윤경렬(1916∼1999) 선생을 기리는 기념관이 개관했다.
고청기념사업회는 19일 경북 경주시 인왕동 양지마을에서 고청기념관의 문을 열었다.
윤 선생의 옛집을 ‘고청생활관’으로 꾸미고 그 옆에 새로 터를 닦아 ‘고청기념관’을 지어 함께 운영한다.
생활관은 윤 선생의 유품 전시, 학술·토론 등을 위한 좌담회, 소규모 전시와 공연을 위한 문화 공간으로 활용한다.
기념관은 교육자이면서 문화 예술가로서 윤 선생의 모습을 담은 사진과 저술 서적을 전시하며, 미술 공예품 판매·체험 공방 등으로도 쓰일 예정이다.
개관식은 ‘울림 소리마당’ 행사와 현판식으로 시작으로 고청 추모 의례, 발자취 소개, 감사장 수여와 신라 토기 명장 배용석 선생이 제4회 고청상을 받았다.
윤 선생의 장녀인 윤소희 동국대 명예교수가 ‘부모님께 올리는 헌악’을 가야금으로 연주했다.
함순섭 국립경주박물관장이 ‘고청기념관의 사명과 할 일’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했다.
고청생활관에서는 윤 선생의 제자인 금속 명장 고 김인태, 토기 명장 배용석, 한국화가 고 조필제의 작품을 전시한다.
윤 선생은 함경북도 주을에서 태어나 일본 나가노코 인형연구소에서 수업했다.
윤 선생은 1943년 개성에서 고려인형사를 열었고 이때 만난 스승인 고유섭·오지호 선생 등과 교유했고, 고유섭 개성박물관장의 권유로 경주로 향했다.
1949년 경주에서 한국풍속인형연구소인 고청사를 설립하고, 1954년에는 경주어린이박물관학교를 개설한 데 이어 1956년 신라문화동인회를 창립했다.
1959년 이후 근화여자중고등학교 미술교사로 재직했고, 신라문화원·남산연구소 등 단체 활동을 하며 신라문화 역사 탐구, 경주 남산에 관한 연구·보존 등에 이바지했다.
1999년 고청 생활관인 자택 고청정사에서 향년 83세로 영면했다.
저서로 ‘불교 동화집’, ‘경주 남산순례’, ‘신라 이야기’, ‘경주 남산’, ‘경주박물관학교 교본’, ‘경주 남산의 탑골’, ‘경주박물관학교 교본’, ‘겨레의 땅 부처님의 땅’ 등과 자서전 '마지막 신라인’을 남겼다.
수상으로는 ‘향토문화상’, ‘경북도지사상’, ‘동아일보 햇님어린이 보호상’, ‘외솔상’, ‘한국문화예술상’, ‘경주시문화상’, ‘금복문화예술상’ 등을 받았고, 2003년 대한민국 문화보국훈장 은장에 추서됐다.
고청기념관은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운영되며 월요일은 쉰다.
초대 관장은 경주문화원 부원장이자 경주학연구원장인 박임관 씨가 맡았다.
송종욱기자 sjw@yeongnam.com

송종욱
경주 담당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