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북경찰청. 영남일보 DB |
정부는 지난 3일 경무관 승진 예정자 22명을 발표했다. 승진자는 경찰청 본청 8명, 서울청 7명을 비롯해 경기북부·부산청 각 2명, 경기남부·충북·경남청에서 각 1명씩 배출했다. 반면, 대구청과 경북청에선 승진자를 배출하지 못했다.
비교적 최근인 2019년 12월, 2021년 1·12월 등 그간 다수의 경무관 승진자를 배출한 대구청과 달리, 경북청은 1991년 경북도경찰국에서 분리·출범한 이후 지금까지 경무관 승진자 배출은 단 1차례(2021년 1월)에 그쳤다. 이마저도, 당시엔 자치경찰제 첫 시행과 맞물려 시·도 경찰청 내 3부장 체제 등 조직개편이 이뤄져 경무관 수요가 늘어서 가능했었다.
이번 경무관 인사와 관련해서는 지역 안배 외에도 정부가 천명한 인사 원칙이 무너졌다는 말도 나온다. 정부는 지난해 8월 경찰국을 신설하면서 일반공채(순경) 출신 고위직 비중을 늘릴 것을 천명했다. 하지만, 이번 경무관 승진자 가운데 절반이 넘는 12명(54.5%)이 경찰대 출신이었고 일반공채는 4명(18.2%)에 불과하다. 일각에선 시·도 경찰청 총경 대부분이 경찰대 출신이라는 실질적 한계를 이유로 들고 있지만 설득력은 크게 떨어진다.
더욱 우려되는 건 이르면 내일(5일)로 예정된 총경 승진 인사 발표도 경무관 인사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적지 않다는 점이다. 이른바 '윤핵관'으로 불리는 정치인의 지역·연고 출신 경관이 이번 경무관 인사에서 약진을 보여서다. '경찰의 꽃'으로 여겨지는 총경 진급은 '낙타가 바늘구멍을 통과하는 것'만큼이나 까다롭다고 여겨진다.
지역의 한 고위 경찰은 "경찰 내 인사 적체 해소 뿐 아니라, 직원 사기와 조직 역량의 가늠자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한 해 총경을 얼마나 배출했는지 여부"라며 "아직 제자리걸음인 자치경찰제 안착과 지역 밀착형 치안 수요 충족 등을 위해선 지역에서 성장한 경관들이 경찰 고위직으로 진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도 경찰청 규모에 맞는 총경 수 안배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양승진기자 promotion7@yeongnam.com

양승진
먼저 가본 저세상 어떤가요 테스형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