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대통령이 5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교육부-문화체육관광부 업무보고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 |
이재명 대통령실 부대변인이 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정부부처 업무보고 중간결산 등 현안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대통령실이 6일 반환점을 돈 정부 부처들의 신년 업무보고를 관통하는 키워드로 △기업·시장 △수출 △디지털 △자유·연대를 제시했다.
대통령실 이재명 부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열고 지난달 22일 기획재정부를 시작으로 전날 교육부·문화체육관광부까지 18개 부처 중 10개 부처 업무보고가 마무리됐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 부대변인은 "윤석열 대통령은 업무보고마다 짧게는 9분에서 길게는 28분간 마무리 발언을 통해 정부의 국정 방향을 상세하게 설명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마무리 발언들을 토대로 4개 키워드를 꼽았다.
첫 번째 키워드인 기업·시장에 대해서 윤 대통령은 정부의 역할을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기재부 업무보고에서 '정책'이란 정부가 시장을 조성하고 기업들이 그 시장에서 수익을 창출하는 과정에서 공적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라고 규정했다. 중소벤처기업부 업무보고에서도 시장의 공정하고 효율적인 작동을 지원하는 것이 정부 역할임을 강조했다. '규제 부서'로 인식돼온 환경부 업무보고에서는 탄소중립 등을 예로 들며 규제를 기술로 풀어나간다면 규제의 산업화·시장화가 가능하다는 주장을 핀 것이다.
각 부처가 수출 지원에 나서야 한다는 것도 업무보고에서 대부분 등장했다. 윤 대통령은 실제로 경제 위기를 '수출 드라이브'와 '스타트업 코리아'의 투트랙으로 돌파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모든 부처가 수출 증대에 힘써야 한다고 주문했다. 각 부처가 '수출 부처이자 산업, 기술 부처'라는 인식 속에 인프라 건설, 원자력 발전, 방위산업 등의 수출을 강화, 국가 재도약의 토대를 만들어야 한다는 구상이다.
디지털도 업무보고를 관통하는 핵심 키워드다. 윤 대통령은 미래 준비의 핵심이 디지털 혁신, 디지털 기술 고도화에 있다고 강조했다. 1·2차 산업도 디지털 혁신을 통해 고부가 가치를 창출할 수 있으며 새 정부가 추진하는 노동·교육 개혁도 이러한 변화에 발맞춘 것이라는 설명이다.
윤 대통령은 국정의 핵심 철학인 '자유와 연대'도 업무보고에서 등장했다 이 부대변인은 "모든 정책의 밑바탕엔 자유와 연대의 정신이 담겨야 한다는 뜻"이라며 "자유는 다양성을, 다양성을 창의를, 창의는 혁신을, 혁신은 경제적 도약을 가져온다는 것이 대통령의 생각"이라고 말했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