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지역 대학 10개 학과 정시 지원자 '0'…우려가 현실 됐다

  • 논설실
  • |
  • 입력 2023-01-12  |  수정 2023-01-12 06:48  |  발행일 2023-01-12 제23면

대구경북지역 대학들이 신입생 확보에 총력전을 펴고 있다. 2023학년도 대입 지원자 수가 정원에 못 미치다 보니 벌어진 현상이다. 4년제 대학의 정시 원서접수는 마감됐지만, 신입생 모집은 진행형이다. 수험생들이 3곳까지 지원을 했기에 복수합격자들의 연쇄 이동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합격자들을 1명이라도 더 등록시키기 위해 대학 간 '뺏고 뺏기는' 쟁탈전이 벌어지고 있다.

올해 수험생들의 대학 지원 현황을 보면 기가 막힌다. 전국 14개 대학 26개 학과의 정시 모집에는 지원자가 단 한 명도 없었다. 지원자 '0'인 학과가 3년 전 8곳에서 올해는 3배 이상 급증했다. 모두가 비수도권 지역이고, 경북이 10곳으로 가장 많다. △경남·전남 각 4곳 △충남·부산·충북 각 2곳 △강원 1곳 △전북 1곳 순이다. '제2의 도시' 부산에서도 사상 처음으로 지원자가 한 명도 없는 학과가 나와 충격을 더해준다.

경북에선 정시 지원율이 정원의 10%대에 불과한 대학도 여럿 있다. 미달 정도를 떠나 대학의 존폐를 걱정할 처지다. 나머지 대학 대부분도 사실상 미달의 기준선인 3대 1을 넘기지 못했다. 신입생 모집이 어려울 줄은 알았지만, 이 정도일지는 전문가들조차 예상치 못했다. 향후 몇 년 안에 상당수 대학이 폐교 수순을 밟을 가능성이 크다. 지역 대학 지원방안 마련을 더 늦출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 정부와 여당은 연내 관련 법률을 제정, 대학 구조개혁을 강력히 추진하기로 뜻을 모았다. 회생이 어려운 부실 대학의 퇴로 마련을 위해서다. 하지만 정부가 지방 대학의 일방적 희생만을 강요해선 곤란하다. 수도권 대학의 정원 감축도 함께 추진해야 구조조정의 명분과 공감을 얻을 수 있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