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예천행정구역통합가능한가포럼' 두고 "통합 위한 안동시 세력 과시 불과" 지적

  • 장석원
  • |
  • 입력 2023-01-16 17:17  |  수정 2023-01-16 17:23  |  발행일 2023-01-17
안동·예천행정구역통합가능한가포럼 두고 통합 위한 안동시 세력 과시 불과 지적
16일 경북도청 동락관 세미나실에서 열린 '미래천년 경북의 중심 안동·예천 상생발전 전략포럼'에서 패널들이 토론을 펼치고 있다.

경북 안동과 예천 통합의 전제 조건은 두 지역 주민간 공감대 형성이 우선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6일 경북도청 동락관 세미나실에서 열린 '미래천년 경북의 중심 안동·예천 상생발전 전략포럼'에서는 안동예천행정구역통합 가능성에 대한 열띤 토론을 벌였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날 포럼이 통합논의 보다 통합을 하기 위한 장점만 늘어놓는 등 안동시의 세력 과시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했다.

주제발표에 나선 하혜수 경북대행정학과 교수는 "안동예천 통합의 주요 쟁점인 통합시의 명칭은 예안시로, 통합시청사 소재지는 안동청사와 예천청사로 나누는 한편, 시의회 운영과 공무원 차별 우려를 위해 의장과 부의장, 상임위원장 배분에 있어 예천을 배려하고, 통합 후 8~12년동안 공무원 상생 이행담보 장치인 승진 후보자 명부를 별도 관리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화서 지역공공정책연구원 원장도 주제발표 '지방소멸 이대로 좋은가'를 통해 지방소멸의 대안으로 통합의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행정구역 통합을 위한 찬성과 반대측 간 토론도 펼쳐졌다.

패널 토론에서 좌장을 맡은 김정모 대구경북언론인회 사무총장은 "통합시 연합청기구를 만들어 여론조사를 하고 구체적인 예산 문제 등을 논의하는게 옳은데 서로의 입장이 다르다"며 "두 자치단체장이 만나 안동과 예천 주민 동수로 해서 연합청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박정민 카톨릭상지대 교수와 김진영 한국농업연동센터장은 "인구가 줄어드는데 통합은 필수적"이라며 "지방소멸예방 최적의 방법과 인구 30만 명 자족도시를 위한 필수조건은 통합뿐"이라고 말했다.

반면 조경섭 전 예천군의회 의장과 강경탁 예천군의회 의원은 "마산·창원·진해 통합으로 행정구역은 넓고 예산은 줄었다. 신도시 주민간 교류와 신도시개발 2·3단계가 조속히 추진된 이후에 통합논의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글·사진=장석원기자 history@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장석원

주변에서 일어나는 소소한 이야기와 다양한 영상·사진 등 제보 부탁드립니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