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배터리 원료 및 소재 샘플과 원통형 배터리 사진. 왼쪽부터 리튬, 원통형 배터리, 니켈, 양극재, 코발트.<포스코케미칼 제공> |
포스코케미칼이 양극재 국가핵심기술을 해외 생산기지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26일 포스코케미칼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산업기술보호위원회를 열고 포스코케미칼이 보유한 국가핵심기술인 '니켈 함량 80% 초과(하이니켈) 양극재 설계·제조·공정 기술'의 수출을 승인했다.
국가핵심기술은 기술적·경제적 가치와 성장 잠재력이 커 해외 수출시 정부로부터 엄격한 보안 요건을 적용받는다. 산업부는 반도체, 전기전자, 철강 등 13개 분야 75개 기술을 국가핵심기술로 지정하고 있다.
니켈 비중을 높인 양극재 제조 기술은 전기차의 주행거리를 늘릴 수 있는 핵심기술로, 산업기술보호위원회는 포스코케미칼의 기술 보호 수준, 배터리 산업과 국민 경제에 미치는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승인 여부를 결정했다.
위원회의 이번 승인으로 포스코케미칼은 이 기술을 해외 양극재 생산법인인 캐나다 얼티엄캠과 중국 절강포화에서 하이니켈 양극재를 생산하는 데 활용할 수 있게 됐다.
포스코케미칼과 제너럴모터스(GM)의 합작사인 얼티엄캠은 캐나다 퀘벡에 연산 3만t 규모의 하이니켈 양극재 공장을 내년 6월까지 완공해 2025년 상반기부터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중국 코발트 업체인 화유코발트와의 합작사 절강포화는 현재 양극재 생산 능력을 연 5천t에서 3만5천t규모로 증설하는 투자를 진행 중이다. 내년 6월부터 2만t, 이듬해 6월부터는 1만t을 추가로 양산할 예정이다.
포스코케미칼은 글로벌 자동차사·원료사와의 합작을 통해 북미, 유럽, 중국의 거점별 양산 능력을 확대해 전기차 시장 급성장과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포스코케미칼 관계자는 "이번 승인을 통해 축적된 경험이 향후 북미와 중국 외 다른 해외지역 사업 진출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마창성기자 mcs12@yeongnam.com

마창성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