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금광리 신생대 나무화석' 나무화석 중 국내 최초로 천연기념물 지정

  • 마창성
  • |
  • 입력 2023-01-27  |  수정 2023-01-26 16:23  |  발행일 2023-01-27 제8면
한반도의 식생·퇴적 환경 이해하는 학술자료로서 가치 인정받아
포항 금광리 신생대 나무화석 나무화석 중 국내 최초로 천연기념물 지정
국내 나무 화석 중 최초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포항 금광리 신생대 나무화석'.<포항시 제공>

국내에서 발견된 나무 화석 가운데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된 '포항 금광리 신생대 나무화석'이 천연기념물이 된다.

문화재청은 최근 문화재 심의위원회를 열어 국내에 있는 나무화석 중 최초로 '포항 금광리 신생대 나무화석'을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로 27일 지정·고시키로 했다.

'포항 금광리 신생대 나무화석'은 높이 10.2m, 폭 0.9~1.3m, 두께 0.3m로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나무화석 중 가장 크다. 특히 건물 3층에 해당하는 높이와 지게차 3대가 동시에 들어올려야 할 정도의 엄청난 무게를 자랑한다.

2009년 부산대 김항묵 교수팀이 포항시 남구 동해면 금광리 도로건설 현장에서 발굴한 이 화석은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원으로 옮겨져 2011년부터 약 3년간 이물질 제거, 갈라짐을 방지하기 위한 약품 도포, 파편 접합 등의 보존처리 과정을 거쳤다. 최근까지 연구원 내 천연기념물센터 수장고에서 보관해왔다.

이 화석은 다수의 옹이와 나뭇결, 나이테 등 화석의 표면과 단면이 거의 원형의 상태로 잘 보존돼 있어 약 2천만 년 전 한반도의 식생과 퇴적 환경을 이해할 수 있고, 표면에서부터 중심부로 갈수록 화석화의 정도가 달라 나무의 화석화 과정을 잘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다.

목재 해부학적 분석 결과 나이테의 경계와 폭, 내부 관과 세포의 배열 특성 등을 종합해 볼 때 측백나뭇과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지금의 메타세쿼이아 또는 세쿼이아와 유사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형 나무화석은 해외에서도 천연기념물 또는 국가공원 등으로 지정해 보호하는 자연유산이다. '포항 금광리 신생대 나무화석'은 전세계 다른 나무화석들과 견줘도 손색이 없을 정도의 크기와 보존상태가 좋다.

문화재청은 오는 2월 중 사전 예약자를 대상으로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천연기념물센터에서 '포항 금광리 신생대 나무화석'과 수장고 내의 다양한 지질 유산을 일정 기간 특별 공개할 예정이다. 또 향후 장기적인 보존관리 환경을 조성하고 전시 공간을 확보해 일반 국민에게 상시 공개하도록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포항 금광리 신생대 나무화석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식물화석이자 포항시를 상징하는 귀중한 자연유산"이라며 "향후 나무화석을 비롯해 지역에서 발견된 각종 화석들을 포항시로 이관해 시민들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마창성기자 mcs12@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마창성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