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산시 푸드플랜 수립 연구용역 최종보고회가 지난 26일에 개최돼 푸드통합지원센터 필요성 등이 제기됐다.(경산시 제공) |
경북 경산시에 푸드통합지원센터 설립 필요성이 제기됐다.
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이 지역에서 우선 소비되는 선진국형 먹거리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푸드통합지원센터가 컨트롤타워 역할을 해야한다는 주장이다.
지난 26일 열린 경산시 푸드플랜 수립 연구용역 최종보고회에서 푸드통합지원센터를 설립해 경산시 전체 농축산물의 기획생산과 물류유통 및 정책기능을 수행해야한다고 밝혔다.
푸드플랜은 농축산물의 먹는 것과 연계된 사업 전체를 포괄한 개념으로 농정의 대상을 농민에서 지역민으로, 단순 농업에서 먹거리 산업으로, 농촌지역에서 지역사회로 확장하는 것이다. 지역 먹거리 산업이 지속해서 발전할 수 있게 먹거리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지역 먹거리 종합전략이다. 경산시는 지난해 6월 지역에 맞는 안전한 먹거리 정책 수립을 위해 국비사업으로 푸드플랜 용역에 착수했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먹거리 생산기반 조성 및 로컬푸드 활성화 ▲보편적 안전 먹거리 확대 ▲먹거리 정책의 제도화 등 3대 전략과 함께 세부사업 58개를 발표했다.
공공먹거리 세부 사업 21개 중 가장 먼저 손꼽힌 푸드통합지원센터는 ▲경산시 전체의 농축산물의 기획생산, 물류유통 및 정책기능 통합적 수행 ▲행정 전담 지원팀과 먹거리관련 주체와의 긴밀한 협조 연계 구축 ▲경산시 먹거리 선순환 체계구축을 위한 민-관 거버넌스 운영 ▲ 관계시장 확장 등 먹거리 정책의 자율적 활동을 위한 플랫폼 구축 등의 업무 수행이 제시됐다.
또한, 먹거리 3대 사업에 7년간 380억원의 사업비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세부적으로는 순환먹거리 사업 117억원, 보장먹거리 사업 48억원, 공공먹거리 사업 215억원이다.
조현일 경산시장은 "경산시 푸드플랜은 시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지역 먹거리 종합전략으로 지역단위 푸드플랜 수립을 통해 지역 순환형 생산, 유통, 소비체계를 구축해 경산시에 가장 적합한 먹거리 선순환 체계를 만들어 모든 시민의 건강한 먹거리를 보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경산시는 이번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푸드플랜 구축을 위한 조례를 제정하고 세부실천과제를 수립해 먹거리 관련 투·융자 계획에 반영할 방침이다.
윤제호기자 yoonjh@yeongnam.com

윤제호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