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북도청. |
지방 소멸 위기 극복을 위해 경북도가 '교육 대전환'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연간 9천 명 이상의 청년이 수도권 등지로 역외 유출되는 상황에서 지자체·기업·대학이 연계해 기존의 틀을 획기적으로 바꿔나간다는 방침이다.
경북도에 따르면, 작금의 청년 유출이 계속될 경우 앞으로 20년 내 도내 대학 수는 22개 수준으로, 올해(36개) 대비 38.9%(14개)가 줄어들 전망이다. 대학 소멸은 지역 경제 붕괴와 지방소멸을 초래한다. 대학 소멸로 인해 지역 중소기업은 인재 채용의 어려움을 호소하면서 수도권 이전을 심각하게 고민하는 실정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도는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지역에서 책임지고 양성하는 방안을 골자로 한 교육 대전환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도와 구미시, 지역 7개 기업, 금오공대 등은 31일 오전 '지역산업 기반 인재양성체계 구축 업무협약'을 체결, 지역의 위기에 공동으로 대응하기로 했다. LIG넥스원·한화시스템·SK실트론 등 지역에 사업장을 둔 대표적 방산·반도체 기업들이 참여했다.
업무협약은 △기업과 공동 교과목 개설 등 경북연합대학 공동 운영 △고교 과정 내 기업 연계 교과목 개설과 등록금 무상 지원 △외국 우수인재 모집( 신라방 프로젝트) 추진을 골자로 한다.
이를 통해 도는 '대학은 이름만 남고 다 바꾼다'는 전략을 통해 기업과 공동 교과목 설계, 공동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경북 연합대학' 형태로 운영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고등학교 과정도 기업연계 교과목 개설을 통한 실습 강화 등 산업 현장에 취업이 용이한 인재 양성에 초점이 맞춰진다. 고졸 취업자가 대학 진학을 희망하면 지자체가 등록금 무상지원, 대졸자 수준의 임금보전, 군복무 복귀시 상여금 지급도 실시할 예정이다.
또 독립국가연합(CIS), 동남아 등지 국가의 우수 대학원생·고등학생 유치 및 지역 정착을 이끌 수 있도록 법무부와 공동으로 어학당 개설 등도 추진한다.
이철우 도지사는 "'간섭은 없다'는 원칙으로 지방 가용재원의 10%를 10년 간 인재양성에 투입할 것"이라며 "기업은 인재 채용에 대한 걱정 없이 지역에 올 수 있도록 하고, 지역 기업에 취업하는 인재는 인생 설계와 기회 확대를 위해 다각도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양승진기자 promotion7@yeongnam.com

양승진
먼저 가본 저세상 어떤가요 테스형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