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추경호 경제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기재부 제공. |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일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신(新)성장 4.0 전략 2023년 추진계획 및 연도별 로드맵'을 발표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12월 초일류국가 도약을 목표로 미래산업 중심의 15대 프로젝트를 선정한 '신성장 4.0 전략 추진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추 부총리는 "미래형 모빌리티, 스마트 물류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하기 위한 2023년 추진계획을 마련해 올해 중 30여개의 세부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그 과정에서 민간기업 등의 역량과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가시적 성과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정부는 UAM 2025년 상용화를 목표로 오는 8월부터 6개 민간 컨소시엄이 참여하는 실증비행 테스트에 착수하고, 돌봄·교육·의료 등 국민생활에 AI를 도입하는 '전국민 AI 일상화 프로젝트'를 6월까지 마련해 전국적으로 추진한다.
또 온실가스 실질 배출량이 '0'인 '넷제로 시티'를 건설하기로 하고, 하반기 중 대상지 10개소를 선정해 실행계획 수립 등을 거쳐 2026년부터 조성할 예정이다. 스마트그리드(지능형 전력망) 활성화에도 나선다. 추 부총리는 "기존 주유소에서 전기를 직접 생산·충전하는 에너지 슈퍼스테이션이 2027년까지 500개 이상 확대될 수 있도록 관련 규제를 조속히 개선하겠다"고 했다.
'K-Network 2030 전략'도 제시됐다. 추 부총리는 "6G 상용화 및 오픈랜 핵심장비 기술 개발 등에 6천억원 규모를 선제적으로 투자하겠다"며 "네트워크 분야 정부 R&D의 민간기업 참여 비중을 지난해 9%에서 내년에는 60%까지 대폭 확대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해외 의존도 높은 6G 핵심 품목의 기술자립화를 위한 R&D를 적극 지원하고, 새로운 보안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양자암호통신 등 보안기술 확보 등도 추진한다"고 말했다.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