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1 기념사하는 윤석열 대통령. 연합뉴스 |
국민의힘 박정하 수석대변인은 1일 논평을 통해 "갈등과 대립의 연속이 아닌 역사에서 교훈을 찾고 미래지향적인 우리의 방향을 제시한 것에 큰 의미가 있다"라며 "국권을 상실하고 고통받았던 과거를 돌아보며 조국의 자유와 독립을 위해 희생한 선열들을 기억하는 데 머무르지 않고, 세계사의 변화를 제대로 준비해 과거의 불행을 반복하지 말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했다.
또 "복합적인 세계적 위기 극복은 물론, 우리가 처한 북한 핵 위협에 엄중히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한미일 3국 간 협력 강화가 무엇보다 중요한 시기"라며 "국민의힘도 오직 국익적 관점에서 세계사의 변화 흐름에 발맞춰 미래를 준비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박 수석대변인은 "자유와 헌신의 3·1절에 민주당이 당 대표 한 사람의 방탄만을 위한 임시국회 소집을 요구했다. 민주당 스스로 방탄 국회임을 자인하는 모습에 국민들의 마음은 한없이 참담하다"라며 민주당을 정조준했다.
더불어민주당 김의겸 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역대 어느 대통령도 3·1절을 이렇게 가볍게 여긴 적은 없다"며 "이게 정말 대한민국 대통령의 기념사인가 싶다"고 지적했다.
김 대변인은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협력 파트너'는 진솔한 사과와 책임지는 자세가 전제돼야 비로소 가능하다"면서 "일본이 조선인들을 전쟁터로, 갱도로, 위안소로 강제 동원한 건 아직도 펄펄 끓는 아픔이다. 일본은 이 상처를 계속해서 덧내고 있는데 윤 대통령의 기념사만 보면 상처가 이미 깨끗이 아물어 버린 듯하다"고 말했다. 또 윤 대통령이 '세계사의 변화에 제대로 준비하지 못해 국권을 상실했던 과거를 되돌아봐야 한다'는 언급에 대해 "식민지배를 정당화하는 논리"라고 비판했다.
김 대변인은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이어받은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은 검찰공화국이 됐다"며 검찰의 이재명 대표 구속영장 청구를 겨냥했다.
한편 정의당 김희서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3·1운동 정신을 거꾸로 세우고, 국민에게 모욕감을 주는 역대 최악의 대통령 기념사"라고 혹평했다.
임호기자 tiger35@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