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의 숙원 신공항 특별법이 이달 내 빛을 볼 수 있을까. 오는 14일 열리는 국회 국토위 교통법안심사소위원회 심사가 변곡점이다. 이날 소위에서 대구경북신공항 특별법에 대한 여야 합의가 이루어지면 남은 일정은 일사천리다. 국토위 전체회의, 법사위원회를 거쳐 30일 국회 본회의에 상정되는 수순을 밟을 예정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실무적 협의가 90% 정도 이루어졌다"고 전했다. 홍준표 대구시장과 강기정 광주시장의 신공항 특별법 공조 체제도 힘을 보탤 전망이다. 그렇더라도 아직 최종 합의를 도출하지 못한 만큼 섣부른 예단이나 낙관을 할 단계는 아니다. 쟁점은 두 가지다. 대구경북신공항의 위상과 정부의 흔쾌한 국비 지원이다. 부산·울산·경남 의원들이 반대한다면 '중·남부권 중추공항'이란 표현을 굳이 고집할 이유가 없다. 정작 중요한 건 활주로 길이 등 시설 규모 아닌가. 하지만 기부 대 양여 사업방식에 대한 국비 지원은 반드시 관철해야 한다.
대구경북신공항은 2028년 개항 목표다. 특별법 3월 국회 통과가 마지노선이란 얘기다. 더는 여의도가 지역 현안사업의 발목을 잡아선 곤란하다. 마침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 체제가 출범했다. 김 대표는 후보 시절 영남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대구경북의 최우선 과제로 '대구경북신공항 특별법의 국회 통과'를 꼽았다. 그러면서 "다른 후보보다 제가 할 수 있는 역할이 훨씬 더 많다"고 말했다. 김 대표가 울산 지역구 의원이란 게 오히려 협상과 합의의 지렛대가 될 수도 있다. 집권여당 대표로서 리더십을 발휘해주기 바란다. 대구경북 의원들의 정치력도 시험대에 올랐다.
대구시 관계자는 "실무적 협의가 90% 정도 이루어졌다"고 전했다. 홍준표 대구시장과 강기정 광주시장의 신공항 특별법 공조 체제도 힘을 보탤 전망이다. 그렇더라도 아직 최종 합의를 도출하지 못한 만큼 섣부른 예단이나 낙관을 할 단계는 아니다. 쟁점은 두 가지다. 대구경북신공항의 위상과 정부의 흔쾌한 국비 지원이다. 부산·울산·경남 의원들이 반대한다면 '중·남부권 중추공항'이란 표현을 굳이 고집할 이유가 없다. 정작 중요한 건 활주로 길이 등 시설 규모 아닌가. 하지만 기부 대 양여 사업방식에 대한 국비 지원은 반드시 관철해야 한다.
대구경북신공항은 2028년 개항 목표다. 특별법 3월 국회 통과가 마지노선이란 얘기다. 더는 여의도가 지역 현안사업의 발목을 잡아선 곤란하다. 마침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 체제가 출범했다. 김 대표는 후보 시절 영남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대구경북의 최우선 과제로 '대구경북신공항 특별법의 국회 통과'를 꼽았다. 그러면서 "다른 후보보다 제가 할 수 있는 역할이 훨씬 더 많다"고 말했다. 김 대표가 울산 지역구 의원이란 게 오히려 협상과 합의의 지렛대가 될 수도 있다. 집권여당 대표로서 리더십을 발휘해주기 바란다. 대구경북 의원들의 정치력도 시험대에 올랐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