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어제(21일) 국무회의에서 한일정상회담의 후속 조치와 관련해 "선제적으로 대일 화이트리스트를 복원하라"고 지시했다. 고위당정협의회(19일), 수석비서관회의(20일)도 열고 '국민 체감 후속 조치'를 강조했다. '후속 조치'는 여당이나 대통령실, 부처 소임에 그치지 않는다. 자치단체 역시 능동적으로 대처할 사안이 적지 않다. 그런 점에서 경북도의 한발 빠른 '일본 수출 확대 총력전' 대응이 돋보인다.
경북도가 한일 관계 훈풍을 물꼬 삼아 일본 수출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선제 대응은 선점의 효과를 낸다. 경북 총수출에서 일본 비중은 지난해 6.0%에서 올 2월 7.5%까지 상승했다. 특히 철강 금속의 경우 올해 2월 누계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07% 증가했다. 농림수산물 수출액도 40% 늘었다. 경북도가 우선 철강금속 분야 지역 주요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나선 것은 시너지 타깃을 잘 설정한 셈이다. '구미 반도체 특화단지' 유치가 성사되면 일본의 반도체소재·부품·장비업체들을 이곳으로 끌어들이는 방안도 검토할 만하다. 윤 대통령이 어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일본 기업 유치 방안을 소개했지만 구미인들 못 할 이유가 없다. 대구경북이 놓쳐선 안 될 사안이 있다. '일 원전 방사능 오염수 방류'와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이다. 빠르면 올봄 방류가 예상되는 만큼 오염수 공포는 발등의 불이다. 경북 어민들도 수산업·관광업계의 타격에 불안해 하고 있다. 경북도가 대구경북 대형마트 및 전통시장을 대상으로 원산지 지도·단속을 실시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어민 및 소비자 불안감을 해소하기엔 역부족이다. 사후약방문에 그친 대책으로 장래 후회하는 일이 있어선 안 된다.
경북도가 한일 관계 훈풍을 물꼬 삼아 일본 수출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선제 대응은 선점의 효과를 낸다. 경북 총수출에서 일본 비중은 지난해 6.0%에서 올 2월 7.5%까지 상승했다. 특히 철강 금속의 경우 올해 2월 누계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07% 증가했다. 농림수산물 수출액도 40% 늘었다. 경북도가 우선 철강금속 분야 지역 주요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나선 것은 시너지 타깃을 잘 설정한 셈이다. '구미 반도체 특화단지' 유치가 성사되면 일본의 반도체소재·부품·장비업체들을 이곳으로 끌어들이는 방안도 검토할 만하다. 윤 대통령이 어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일본 기업 유치 방안을 소개했지만 구미인들 못 할 이유가 없다. 대구경북이 놓쳐선 안 될 사안이 있다. '일 원전 방사능 오염수 방류'와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이다. 빠르면 올봄 방류가 예상되는 만큼 오염수 공포는 발등의 불이다. 경북 어민들도 수산업·관광업계의 타격에 불안해 하고 있다. 경북도가 대구경북 대형마트 및 전통시장을 대상으로 원산지 지도·단속을 실시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어민 및 소비자 불안감을 해소하기엔 역부족이다. 사후약방문에 그친 대책으로 장래 후회하는 일이 있어선 안 된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