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전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과정에서 돈 봉투가 오갔다는 의혹이 일파만파 커지고 있다. 검찰은 2021년 5월 송영길 의원이 승리한 전대를 앞두고 윤관석·이성만 의원, 이정근 전 민주당 사무부총장, 강래구 한국수자원공사 상임감사위원 등 송 의원 측 선거캠프 관계자 9명이 9천400만원을 살포했다는 정황을 포착했다. 돈 봉투는 최소 90개로, 국회의원에 300만원, 지역위원장에 50만~100만원, 캠프 실장급에 50만원씩 전달됐다고 한다. 불법자금을 받은 민주당 관계자가 수십 명에 이르고, 이 중 현직 의원도 10명이 넘는 것으로 검찰은 보고 있다. 적어도 중앙 정치 무대에서 사라진 줄 알았던 돈 정치 폐습이 국회 제1당에서 버젓이 자행됐다니 실로 믿기 어렵다.
검찰 수사 초기 단계지만 돈 봉투 정황은 구체적이다. 3만개에 달하는 '이정근 녹취록' 중에는 송 의원 캠프 관계자들이 돈 전달 방법 등을 상의한 대화 내용이 빼곡히 기록돼 있다. 수사가 진전될수록 돈 살포는 사실로 드러날 공산이 크다. 그럼에도 민주당은 '야당 탄압' 프레임에 기대려는 모습이다. '돈 선거' 의혹의 중심에 있는 송영길 의원을 비롯한 일부 의원은 "국면 반전을 노린 기획 수사"라며 강변하고 있다. 또 돈 살포 당사자로 지목된 윤 의원은 해당 녹취록이 "짜깁기"라며 반발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주장은 당내에서조차 설득력을 잃어가고 있다.
민주당의 '돈 봉투 전대'는 이재명 대표의 개인 비리 혐의와는 차원이 다른 최악의 사법 리스크가 될 수 있다. 치명적 위기를 막으려면 검찰 비난보다 자체 진상규명에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검찰도 한 점 의혹이 남지 않도록 철저히 수사해야 한다.
검찰 수사 초기 단계지만 돈 봉투 정황은 구체적이다. 3만개에 달하는 '이정근 녹취록' 중에는 송 의원 캠프 관계자들이 돈 전달 방법 등을 상의한 대화 내용이 빼곡히 기록돼 있다. 수사가 진전될수록 돈 살포는 사실로 드러날 공산이 크다. 그럼에도 민주당은 '야당 탄압' 프레임에 기대려는 모습이다. '돈 선거' 의혹의 중심에 있는 송영길 의원을 비롯한 일부 의원은 "국면 반전을 노린 기획 수사"라며 강변하고 있다. 또 돈 살포 당사자로 지목된 윤 의원은 해당 녹취록이 "짜깁기"라며 반발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주장은 당내에서조차 설득력을 잃어가고 있다.
민주당의 '돈 봉투 전대'는 이재명 대표의 개인 비리 혐의와는 차원이 다른 최악의 사법 리스크가 될 수 있다. 치명적 위기를 막으려면 검찰 비난보다 자체 진상규명에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검찰도 한 점 의혹이 남지 않도록 철저히 수사해야 한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