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소멸에 대한 대구경북민들의 우려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집중이라는 기울어진 운동장에 청년유출과 고령화 등이 겹친 탓이다. 인구이동 등 다양한 통계가 발표되고 그에 따른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대책이 추진되고 있지만 실효를 거두기에는 턱없이 모자란다. 인위적으로라도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해야 할 정도로 상황이 악화되고 있기 때문에 진정 국가 균형발전이 국정과제라면 정부의 보다 강력한 대처와 개입이 절실한 시점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최근 발표한 '지역경제 현황 및 전망 국민 인식조사' 결과는 충격적이다.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에서 교육·경찰·소방 등 행정기능 상실 등과 같은 지역소멸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구시민 50.9%, 경북도민 66.7%가 '있다'고 답했다. '앞으로 살기 어렵고 전망이 암울하다'는 것이 다수 지역민의 인식이긴 하나, 과반을 넘는 구성원들이 소멸 가능성에 응답할 만큼 현 상황을 무겁고 두렵게 받아들이고 있는 실정이다.
인구유출이 수도권을 제외한 각 지역의 가장 민감한 현안으로 자리 잡은 가운데 청년들이 수도권을 선호하는 이유는 '열악한 일자리'(47.4%)와 '문화·휴식 인프라 부족'(20.9%), '보건·의료시설 접근성 미흡'(20.4%) 때문으로 분석됐다. 청년들을 붙들기 위한 지자체의 대응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이번 조사에서 57.9%는 지역소멸 발생 시기를 향후 5~20년 내로 예상했다. 남아있는 시간이 별로 없다는 의미로도 받아들여진다. 지역에 다시 활기를 불어넣어 균형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정부의 강한 의지와 실천이 절대적인 필요조건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최근 발표한 '지역경제 현황 및 전망 국민 인식조사' 결과는 충격적이다.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에서 교육·경찰·소방 등 행정기능 상실 등과 같은 지역소멸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구시민 50.9%, 경북도민 66.7%가 '있다'고 답했다. '앞으로 살기 어렵고 전망이 암울하다'는 것이 다수 지역민의 인식이긴 하나, 과반을 넘는 구성원들이 소멸 가능성에 응답할 만큼 현 상황을 무겁고 두렵게 받아들이고 있는 실정이다.
인구유출이 수도권을 제외한 각 지역의 가장 민감한 현안으로 자리 잡은 가운데 청년들이 수도권을 선호하는 이유는 '열악한 일자리'(47.4%)와 '문화·휴식 인프라 부족'(20.9%), '보건·의료시설 접근성 미흡'(20.4%) 때문으로 분석됐다. 청년들을 붙들기 위한 지자체의 대응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이번 조사에서 57.9%는 지역소멸 발생 시기를 향후 5~20년 내로 예상했다. 남아있는 시간이 별로 없다는 의미로도 받아들여진다. 지역에 다시 활기를 불어넣어 균형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정부의 강한 의지와 실천이 절대적인 필요조건이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