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때도없는뉴스] 2023년 04월 25일 간추린 뉴스

  • 김용국
  • |
  • 입력 2023-04-25 09:04

 

 


 

1. 대구 최근 8개월간 전세보증 사고 금액 150억원 넘어

한국부동산원이 부동산테크를 통해 공개한 '임대차 사이렌'에 따르면 지난해 8월부터 올해 3월까지 약 8개월간 대구에서 발생한 전세 보증 사고는 총 59건, 158억6천만원이었습니다. 대구지역 전세보증 사고 건수와 금액은 비수도권에서 부산 160건, 327억4천650만원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습니다. 대구 구·군별로는 달서구가 열아홉건 54억8천500만원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수성구 열한건 30억9천500만원, 동구 열건 28억9천200만원, 북구 열건 26억8천800만원, 달성군 여섯건 13억7천만원, 남구 두건 2억8천만원, 서구 한건 5천만원이었습니다. 중구는 한건도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2. 구미 원사 생산업체 잇따라 가동중단…섬유업계 비상

국내 대표 폴리에스터 원사 생산업체인 구미 성안합섬과 TK케미칼이 잇따라 가동을 중단하면서 대구·경북 섬유업계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성안합섬은 지난 7일 법정관리를 신청하고 잠정 공장가동 중단에 들어갔습니다. 성안합섬은 3년 전 경리부장의 200억원 횡령사건에 휘말리며 급속히 경영이 악화됐습니다. SM그룹의 화섬 계열사인 TK케미칼도 지난 2월 구미3산단에 있는 폴리에스터 생산공장의 가동을 중단했습니다. TK케미칼은 2015년과 2017년에도 폴리에스터 공장 가동을 중단한 후 인적 구조조정을 진행한 바 있습니다. 


3. 경북에 또 엠폭스 환자...전국 확진자 30명으로 늘어
 
경북도는 림프절 부종 및 피부병변 등의 증상으로 보건소에 내원한 경북거주 내국인이 경북도 보건환경 연구원의 검사 결과 원숭이두창 즉 엠폭스 확진 환자로 판정됐다고 24일 밝혔습니다. 지난 18일에 이어 경북의 두 번째 확진자입니다. 경북도 보건환경 연구원은 "이번에 확진 판정을 받은 환자는 국내 감염으로 추정된다"며 "현재 격리병상에서 입원치료 중이며, 전반적인 상태는 양호한 편"이라고 전했습니다. 이 환자를 포함해 이날 하루에만 10명이 늘면서 국내 엠폭스 확진자는 총 30명으로 늘었습니다.


4. 국토부·국방부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본격 추진"

국토교통부와 국방부가 24일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을 본격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국토부와 국방부에 따르면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은 25일 공포됩니다. 통합신공항 건설 추진 TF도 운영됩니다. TF는 특별법에 따른 통합신공항 건설추진단이 정식 출범하기 전까지 하위법령 정비 등 후속 조치를 보다 신속하게 추진하기 위한 것입니다.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2차관 직속으로 두며, 공항 정책을 총괄 관리하는 국토부 공항 정책관이 TF부단장을 맡아 민항 이전 사전 타당성 조사, 하위법령 정비, 전문가 자문단 운영 등 사업 전반을 관리합니다.

5. SNS 소문난 청도중·고 학교급식 26일 전국방송 탄다

각종 SNS에서 소문난 경북 청도중·고등학교의 급식이 전국 방송을 탑니다. 청도중·고에 따르면 SBS 생방송 투데이 '김PD가 떴다'가 최근 이 학교 급식실을 찾아 촬영했습니다. 청도중•고의 급식은 이미 SNS에서도 랍스타·봉추찜닭·로제떡볶이·클럽샌드위치 등 다양하고 특별한 메뉴를 제공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이번 촬영에서 김PD는 오늘의 메뉴인 고추장 삼겹살·파채겉절이·무생채·된장찌개 등을 조리하는 데 도전했습니다. 이날 촬영분은 26일 오후 7시부터 SBS를 통해 방송될 예정입니다.


6. 직장인 10명 중 3명꼴 근로계약서 작성 않거나 못받아

직장인 10명 중 3명꼴로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거나 받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노동관련 민간 공익단체 '직장갑질119'와 사무금융 우분투 재단이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엠브레인 퍼블릭에 의뢰해 지난달 3일부터 10일까지 노동자 1천 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27.3%가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거나 받지 못했다고 답했습니다. 근로계약서 미작성·미교부는 상대적으로 일터의 약자로 평가받는 비정규직, 비노조원, 월 150만원 미만 근로자에서 높게 나타났습니다. 특히 5인 미만 사업장은 절반이 넘는 50.3%가 근로계약서 작성·교부 의무를 위반하고 있었습니다.

기자 이미지

김용국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영상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